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Ⅵ. 동아시아 문명과 초기국가로 이행

일정집단의 사회적인 발전과정은 취락의 규모와 구조, 무덤의 규모와 부장유물을 통해서 설명할 수 있다. 전자는 집단 구성원의 생전 사회생활을 직접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장송의례를 거쳐 묻힌 사람의 신분을 간접적으로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취락의 경우 다수의 주거지로 구성되는데, 마을을 둘러싸는 환호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나 성곽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시설, 마을 내에 상위신분의 권력자가 통치하는 가옥시설이나 구성원 전체의 행사가 이루어지는 공공시설의 존재 방식을 통해서 계층사회 나아가 국가위키백과로의 이행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무덤의 경우 무덤의 규모와 축조방식, 그리고 부장되는 토기, 옥기, 청동, 금제품 등의 위세품과 순생하는 동물의 종류와 숫자를 검토해서 피장자의 상대적 지위와 생전에 수행한 직능과 신분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동북아시아지역에서 원시평등사회에서 초기국가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 대해서 신진화론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의 입장에서 세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중국연구자들의 관점에서 보면 고성-고국-방국의 단계로 설명할 수 있으며, 한국 연구자들이 수용하는 신진화론의 입장에서 보면 초기군장사회(족장사회)RISS-후기군장사회-초기국가의 단계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고성과 초기군장사회, 고국이 후기군장사회, 초기국가가 방국에 일대일 대응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각 문화권의 각기 다른 고고학적 유적유물갖춤새를 각 단계에 대응시키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같은 단계에 속한다 하더라도 각기 다른 하위 단계로 구분될 수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아시아 문명과 초기국가로 이행 자료번호 : edeah.d_0001_003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