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10) 기타 철제 유물

(1) 겹 판상 철제유물
4점이 확인된다(도면 726, 1~4). 얇은 철판이 서로 겹쳐져 있는 유물이다. 장축 방향으로 겹친 것도 있고(도면 2018-867), 단축 방향으로 겹친 것도 있으며(도면 2009-729; 2018-81), 서로 다른 철판이 겹쳐진 것도 있다(도면 2016-87). 크라스키노성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는 유물 중의 하나이다.
도면 726 | 크라스키노성 출토 겹 판상 철제유물(1~4), 감은 철제유뮬(5~9), 못을 박은 판상 철제유물(10, 11): 1-제42구역(2009), 2, 8-제51구역(2016), 3 -제51구역(2018), 4 -제53구역(2018), 5-제45구역 (2011), 6-제49구역(2014), 7 -제50구역(2015), 9-제51구역(2017), 10, 11-제49구역(2014)
(2) 감은 철제유물
크라스키노성에서는 철심 혹은 폭이 좁은 철판을 감은 철제유물도 드물지만 확인된다. 아마도 무언가를 고정시키기 위해 감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번 감은 것도 있고(도면 2011-122, 2; 2014-824, 2; 2015-898)(도면 726, 5~7), 두 번 감은 것도 있다(도면 2016-141)(도면 726, 8). 또한 철심과 직각의 방향으로 감은 것도 있다(도면 2017- 306)(도면 726, 9).
(3) 못을 박은 판상 철제유물
좁은 혹은 상대적으로 넓은 철판의 한쪽에 못 혹은 리벳을 박은 것이 남아 있는 유물이다. 2점이 확인되었다. 1점은 잔존 길이가 8㎝이고(도면 2014-927, 1)(도면 726, 10), 다른 1점은 잔존 길이가 1.8㎝이다(도면 2014-919, 3)(도면 726, 11).
(4) 판상 철제유물
판상유물은 크라스키노성에서 비교적 자주 발견되는 유물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편이 작고, 형태가 분명하지 못하여 용도를 분명하게 추정하기는 힘들다.
얇고 비교적 넓은 판상유물은 좌우가 평행하는 것도 있고(예, 도면 2011-62, 2; 2018-501; 2017-583)(도면 727, 1~3), 그렇지 않고 부정형인 것도 있다(예, 도면 2014-779, 2; 2018-725)(도면 727, 4, 5). 8점이 확인된다.
도면 727 | 크라스키노성 출토 판상 철제유물: 1-제45구역(2011), 2, 5-제53구역(2018), 3, 9, 13-제51구역(2017), 4-제49구역(2014), 6-제35구역(2006), 7-제42구역 (2009), 8-제44구역(2014), 10, 11-제44구역(2010), 12-제44구역(2014), 14-제51구역(2018)
얇고 비교적 좁은 판상유물은 4점이 확인되었는데(도면 727, 6~9) 모두 단면이 세장방형이다(예, 도면 2017- 217; 2006-56)(도면 727, 9, 6). 좌우가 평행하면서 얇은 것들 중에는 찰갑도 있을 수 있고, 또 부정형인 것들 중에는 주철제 솥의 동체부편일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쪽이 굽은 판상유물은 5점이 확인된다(예, 도면 2010-92, 96; 2014-99; 2017-502; 2018-128)(도면 727, 10~14). 단면은 모두 세장방형이다.
(5) 축모양 철제유물
축모양의 철제유물은 모두 원래의 형태를 알 수가 없다. 편 상태로 발견되었고, 직선상의 축 혹은 막대기의 모양을 하고 있어 붙여진 명칭이다. 다만 드물게 굽은 경우도 있다. 단면의 모양은 크게 방형, 장방형, 능형, 원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면이 방형인 축모양 유물은 48점이 확인되었다(예, 도면 2012-459; 2013-220; 2017-205)(도면 728, 1~3). 단면이 장방형인 축모양 철제유물은 28점이 확인된다(예, 도면 2012-296; 2014-912; 2018-614)(도면 728, 4~6). 단면이 능형인 축모양 철제유물은 5점이 확인되었다(예, 도면 2010-98; 2018-510)(도면 728, 7, 8). 단면이 원형 혹은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의 축모양 유물은 18점이 확인되었다(예, 도면 2010-95, 152; 2014-528)(도면 728, 9~11). 이 축모양 철제유물은 못, 화살촉, 꺽쇠의 일부, 칼의 슴베 부분, 철사, 송곳, 기타 여러 가지 물품의 일부였을 것이다. 이상 집계된 99점 이외에도 축모양 유물은 사진으로만 제시되거나 혹은 보고자체가 되지 않은 것들도 많이 있다.
도면 728 | 크라스키노성 출토 축 모양 철제유물: 1-제47구역(2012), 2-제51구역(2017), 3-제44구역(2013), 4-제48구역(2012), 5-제49구역(2014), 6, 8-제53구역 (2018), 7, 9, 10-제44구역(2010), 11-제47구역(2014)
(6) 덩이모양 철제유물
크라스키노성에서는 덩이 상태의 철제 유물이 적지 않게 출토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언급만 있고 보고내용이 없다. 도면으로 제시된 것은 7점이 확인된다. 대체로 크기가작고 형태가 부정형이다(예, 도면 2014-685; 2017-78, 81)(도면 729, 1~3).
(7) 철제 유물
궁형 모양의 철제품인데 단면은 장방형이다. 용도는 알 수 없다. 길이는 약 9.8㎝이다(도면 2009-540)(도면 729, 4).
도면 729 | 크라스키노성 출토 덩이 모양 철제유물(1~3), 철제 유물(4): 1-제47구역(2014), 2, 3 -제51구역(2017), 4-제49구역(2009)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0) 기타 철제 유물 자료번호 : kr.d_0016_0030_005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