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백제인(百濟人)의...]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백제인(百濟人)의 후손이다. 신공황후(神功皇后) 때 귀화하였다. 예손은 삼야(三野; 미노), 석지(石持; 이하모치) 등이라고 하였다.
 
【주석】
1. 성씨록운(姓氏錄云)
이 일문은 『고엽략류취초(古葉略類聚鈔)』 권제10 삼야련석수(三野連石守)의 주로 인용된 것인데,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제27권 섭진국 제번 「삼야조(三野造)」 조의 일문일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삼야련이라는 씨성이 『신찬성씨록』 에 보이지 않으므로, 삼야(三野)가 인명이라면 이 일문은 인용자가 삼야라는 인명에 이끌려 잘못 인용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2. 신공황후시(神功皇后時)
『신찬성씨록』완본에는 ‘기장족희황후(氣長足姬皇后)[시호는 신공(神功)이다.]’로 되어 있었을 것이다. 『일본서기』 에 신공황후 때 백제인 구저(久氐), 미주류(彌州流), 막고(莫古)가 왔다는 기록이 보인다(신공황후 섭정 46년 3월조). 그러나 이 일문과의 관련성은 분명하지 않다.
3. 삼야(三野)
삼야는 씨명(氏名)이 아니고 인명일 것이다. 여기에만 보인다.
4. 석지(石持)
이 인명은 여기에만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백제인(百濟人)의...] 자료번호 : ss.k_0003_004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