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중복(中腹)의 지노직(志努直; 시누노아타히)의 둘째 아들...]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중복(中腹)의 지노직(志努直; 시누노아타히)의 둘째 아들 지다직(志多直; 시타노아타히)은 흑환직(黑丸直; 구로마루노아타히), 어기촌(於忌寸; 우헤노이미키), 창문기촌(倉門忌寸; 구라카도노이미키), 오원기촌(吳原忌寸; 구레하라노이미키), 사좌직(斯佐直; 시사노아타히), 석점기촌(石占忌寸; 이하우라노이미키), 국멱기촌(國覓忌寸; 구니마기노이미키), 정상기촌(井上忌寸; 위노우헤노이미키), 석촌기촌(石村忌寸; 이하레노이미키), 임기촌(林忌寸; 하야시노이미키) 등 10성의 조상이다.
 
【주석】
1. 성씨록왈(姓氏錄曰)
이 일문은 〈판상계도(坂上系圖)〉 지다직(志多直)조에 인용된 것으로 우경 제번(상)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조(812)의 일문이다. 현재의 초략본에는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아들 연왕(延王)에서 나왔다고 하였다.
2. 지노직(志努直)
지노직에 대해서는 [일문11]의 지노직 항목 참조.
3. 지다직(志多直)
〈판상계도(坂上系圖)〉에서 지노직(志努直)의 아들인 아소나직(阿素奈直)의 아우로 지다직을 들고, 그 말미에 이 일문을 기록하였다.
4. 흑환직(黑丸直)
흑환(黑丸)이라는 씨명은 월전국(越前國) 판정군(坂井郡) 흑환장(黑丸莊), 즉 현재의 복정시(福井市) 천서정(川西町) 흑환(黑丸)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흑환직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5. 어기촌(於忌寸)
어(於; 우헤)라는 씨명은 우폐(宇閉; 우헤), 상(上; 우헤)이라고도 쓰며 대화국(大和國) 광뢰군(廣瀨郡)의 어신사(於神社)가 있던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延喜式』 神名帳).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북갈성군(北葛城郡) 광릉정(廣陵町) 대총(大塚) 부근이다.
어기촌(於忌寸)의 원래 성은 직(直)이고, 연(連)을 거쳐 기촌(忌寸)이 되었다. 천무(天武) 14년(685)에 왜한련(倭漢連)이 기촌이라는 성을 받은 시기에 기촌이 되었을 것이다(『일본서기』 天武 14년 6월 甲午條).
어직(於直)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우폐직궁(宇閉直弓, 『일본서기』 天武 13년 3월 경인조)이 있고, 어기촌으로는 어이미길자수(於伊美吉子首, 天平 5년 「右京計帳」, 『대일본고문서』 1-481 등) 등이 보인다. 이들 중에서 우폐직궁(宇閉直弓)은 대화국(大和國) 길야군(吉野郡) 사람으로 천무(天武) 13년(684)에 흰 해석류(海石榴)를 바쳤다(『일본서기』天武 13년 3월 경인조). 어기촌제마려(於忌寸弟麻呂)는 연력(延曆) 6년(787)에 정6위상 평전기촌장마려(平田忌寸杖麻呂)·노기촌천마려(路忌寸泉麻呂), 종7위하 문옥기촌정족(蚊屋忌寸淨足)과 함께 종8위상으로서 기촌을 고쳐 숙녜(宿禰)라는 성을 받았다(『속일본기』 延曆 6년 6월 신축조). 어숙녜씨로는 어숙녜을녀(於宿禰乙女)가 있다(『속일본기』 延曆 10년 3월 임오조).
6. 창문기촌(倉門忌寸)
창문(倉門)이라는 씨명의 유래는 알 수 없다. 창문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다만 성이 없는 창문능과(倉門能果, 天曆 5년 5월 11일부 「平忠信家地賣券」 『平安遺文』 1-385), 창문능주(倉門能株, 天曆 11년 8월15일부 「置始乙連家地賣券」 『平安遺文』 1-398)가 보인다.
7. 오원기촌(吳原忌寸)
오원(吳原; 구레하라)이라는 씨명은, 웅략(雄略) 14년에 오나라의 사신을 맞이하여 머물게 하였기 때문에 생긴 오원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일본서기』 雄略 14년 3월조). 원래 지명은 회외야(檜隈野)였고, 현재는 율원(栗原; 구리하라)이라고 한다. 나량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명일향촌(明日香村)에 있다.
오원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오원기촌오백족(吳原忌寸五百足, 天平 5년경 「山背國愛宕郡計帳」, 『대일본고문서』 1-507) 등 다수가 보인다.
오원기촌명매환(吳原忌寸名妹丸)에 대해서는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 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그는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파다리(波多里) 사람인데 어릴 때부터 그물을 만들어 고기를 잡았다. 연력(延曆) 2년(782) 갑자 8월 19일 밤에 기이국(紀伊國) 해부군(海部郡)의 이파다기도(伊波多岐島)와 담로국(淡路國) 사이의 바다에 가서 고기를 잡았다. 그때 3척의 배에 9인이 타고 있었는데, 갑자기 큰 바람이 불어서 배가 모두 부서지고 8명이 빠져 죽었다. 표류하게 된 명매환은 자신의 목숨을 구해 주면 묘견보살(妙見菩薩)의 상을 만들겠다고 발원하였다. 다음날 아침에 그는 해부군의 문전포(蚊田浦) 해변에서 깨어났고, 서원한 대로 묘견보살의 상을 만들어 경배하였다(『日本靈異記』 하권 제32).
8. 사좌직(斯佐直)
사좌(斯佐)라는 씨명의 유래는 알 수 없다. 사좌직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9. 석점기촌(石占忌寸)
석점(石占)이라는 씨명은 이세국(伊勢國) 상명군(桑名郡) 석점(石占), 즉 현재의 삼중현(三重縣) 상명시(桑名市) 부근의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천평(天平) 12년(740)에 상명군 석점돈궁(石占頓宮)에 행차하였다는 기사가 보인다(『속일본기』 天平 12년11월 무신조).
석점기촌에 대해서는 섭진국(攝津國) 제번(諸蕃) 「석점기촌(石占忌寸)」 조(962) 참조. 해당 조에서는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와 조상이 같으며 아지왕(阿智王)의 후손이라고 하였다.
10. 국멱기촌(國覓忌寸)
국멱(國覓)이라는 씨명의 유래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국멱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국경기촌동인(國竟忌寸東人, 『藤原宮木簡』 1-57), 국멱기촌팔도(國覓忌寸八島, 『속일본기』 慶雲 4년 2월 갑오조), 국멱기촌승마려(國覓忌寸勝麻呂, 『속일본기』 神龜 2년 윤정월 정미조), 국멱기촌제마려(國覓忌寸弟麻呂, 天平 5년 「右京計帳」, 『대일본고문서』 1-496),국멱기촌이하마려(國覓忌寸伊賀麻呂, 상동), 국멱기촌옥충녀(國覓忌寸玉虫女, 天平 5년 「右京計帳」, 『대일본고문서』1-497), 국멱기촌하두랑녀(國覓忌寸賀豆郞女, 상동), 국멱기촌동인(國覓忌寸東人, 상동), 국멱기촌대인(國覓忌寸大人, 상동), 국멱기촌소충(國覓忌寸小虫, 상동), 국멱기촌(國覓忌寸, 『平城宫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6-3), 국멱이미길길종(國覓伊美吉吉宗, 延喜 17년 4월 27일부 「丹波國某鄕長解」 『平安遺文』 1-324) 등이 있다.
11. 정상기촌(井上忌寸)
정상(井上)이라는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지기군(志紀郡) 정어향(井於鄕), 즉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등정사시(藤井寺市) 도명사정(道明寺町) 부근의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상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정상이미길(井上伊美吉, 天平 11년 8월 14일 「皇后宮職移」, 『대일본고문서』 2-181), 정상기촌마려(井上忌寸麻呂, 『속일본기』 天平 15년 5월 계묘조), 정상기촌강만려(井上忌寸岡万呂, 天平勝寶 2년 8월 「經師上日帳」, 『대일본고문서』 3-456 등), 정상기촌봉마려(井上忌寸蜂麻呂, 『속일본기』 神護景雲 3년 10월 갑자조), 정상이미길직계(井上伊美吉直繼, 『日本三代實錄』元慶 3년 12월 경자조), 정상이미길진웅(井上伊美吉眞雄, 『日本三代實錄』 元慶 3년 12월 경자조)이 있다. 정상기촌강만려는 정상강만려로도 나타나므로(天平勝寶 원년 8월 이래 「經師上日帳」 3-310), 정상신성(井上新成)처럼 성을 기록하지 않은 경우도 기촌이라는 성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정상기촌봉마려는, 유의궁(由義宮)을 서경(西京)으로 삼고 하내국(河內國)을 하내직(河內職)으로 삼으면서 해당 지역의 군사(郡司)에게 위계를 올려 줄 때 정6위상 하내련삼립마려(河內連三立麻呂), 육인부련광도(六人部連廣道), 고안기촌이가마려(高安忌寸伊可麻呂)와 함께 모두 외종5위하가 되었다(『속일본기』神護景雲 3년 10월 갑자조). 이로 미루어 볼 때 정상기촌은 하내국에 포함된 군의 군사였으며, 그 근거지가 하내국임을 알 수 있다.
12. 석촌기촌(石村忌寸)
석촌(石村)이라는 씨명은 반여(磐余)라고도 표기하며, 대화국(大和國) 십시군(十市郡)반여촌(磐余村), 즉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앵정시(櫻井市) 중부 및 강원시(橿原市) 동남부 일대의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석촌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반여이미길제군(磐余伊美吉諸君, 『萬葉集』20-4432)이 있다.
13. 임기촌(林忌寸)
임(林)이라는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지기군(志紀郡) 배지향(拝志鄕), 즉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등정사시(藤井寺市) 도명사정(道明寺町) 임(林)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임기촌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임기촌도마려(林忌寸稻麻呂, 『속일본기』 天應 원년 11월 경오조 등), 임기촌진계(林忌寸眞繼, 『日本後紀』 延曆 18년 4월 경인조), 임기촌진영(林忌寸眞永, 『日本後紀』弘仁 3년 정월 병인조 등), 임기촌도주(林忌寸稻主, 『日本後紀』 弘仁 4년 정월 기묘조)가 있다. 임기촌도마려는 조동대사사(造東大寺司)에서 활동하였으며 천응(天應) 원년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가 되었다(『속일본기』 天應 원년 11월 경오조). 연력(延曆) 원년에 조동대사사 차관이면서 동궁학사(東宮學士)를 겸임하였다. 이후 미작개(美作介)·비전개(備前介)도 겸임하였으며, 연력 4년에 등원종계(藤原種繼)의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이두(伊豆)로 유배되었다(『日本紀略』 延曆 4년 9월 병신조). 그 후 사면되어 대동(大同) 원년에 본래의 관위에 다시 서위되었다(『日本後紀』 大同 원년 3월신사조).
임기촌진영(林忌寸眞永)은 하내국(河內國) 사람으로서 외종5위하의 관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홍인(弘仁) 3년(812)에 우경인(右京人) 정6위상 산구기촌제족(山口忌寸諸足),내장기촌대족(內藏忌寸帶足) 등과 함께 숙녜(宿禰)라는 성을 받았다(『日本後紀』 弘仁 3년 6월 무술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중복(中腹)의 지노직(志努直; 시누노아타히)의 둘째 아들...] 자료번호 : ss.k_0003_0030_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