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평조신(平朝臣; 다히라노아소미)...]

【평조신(平朝臣)】
평조신(平朝臣; 다히라노아소미)
 환무천황(桓武天皇; 구완무텐와우)의 아들 일품식부경(一品式部卿) 갈원친왕(葛原親王; 구즈하라노신와우)의 아들인 대학두(大學頭) 종4위하 고동왕(高棟王; 다카무네와우)이 천장(天長) 2년 윤7월에 평조신(平朝臣; 다히라노아소미)이라는 성을 받았다. 좌경(左京)에 부관되었다. 정관(貞觀) 9년 5월에 대납언(大納言) 정3위에 이르러 죽었다(薨).[64세였다.]
 
【주석】
1. 평조신(平朝臣)
평(平; 다히라)이라는 씨명은 『일본후기』 연력(延曆) 13년(794) 정축조에는 천황이 조를 내려 산배국(山背國)은 산이 둘러싼 자연의 요해지로 성(城)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런 훌륭한 지세로 말미암아 새로 국호를 제정하여 산배국을 고쳐 산성국(山城國)이라 부르라고 하고, 천황을 흠모하고 그 덕을 칭송하는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평안경(平安京)이라 부른다고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평안(平安)의 미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평조신(平朝臣)은 『일본기략』 천장(天長) 2년(825) 7월 정미조에 환무천황(桓武天皇)의 황자 갈원친왕(葛原親王)의 아들이 왕호(王號)를 버리는 것을 허락받았다. 그리고 천장 2년 윤7월에는 고동왕(高棟王)이 평조신(平朝臣)의 씨성을 받았다.
평조신은 고동왕(高棟王)인 평조신고동(平朝臣高棟)을 비롯하여 선동왕(善棟王)인 평조신선동(平朝臣善棟) 등을 들 수 있다. 『유취국사』 99 서위(叙位)에는 천장 2년 정월 신해조에 무위(無位) 선동왕 종4위하라고 기재되어 있고, 『유취국사』 66 훙졸(薨卒)에는 천장 6년(829) 6월 경오조에는 종4위하 평조신선동이 졸하였고 1품(一品) 갈원친왕(葛原親王)의 둘째 아들이라고 적혀 있다. 그리고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7년(840) 정월 갑신조의 평조신춘향(平朝臣春香), 가상(嘉祥) 3년(850) 정월 정해조의 평조신가하자(平朝臣可賀子), 『일본문덕천황실록』 인수(仁壽) 3년(853) 정월 무술조의 평조신실웅(平朝臣實雄),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9년(867) 정월 7일 무신조의 평조신정범(平朝臣正範) 등이 있다.
2. 환무천황(桓武天皇)
환무천황은 천지천황(天智天皇)의 후손인 광인천황(光仁天皇; 고닌텐노)의 아들로 광인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781~806년까지 재위하였다. 즉위 후 새로운 왕경을 조영하여 평안(平安; 헤이안)으로 천도하는 작업과 동북 지방의 하이(蝦夷; 에미시) 정벌에 집중하였다. 이 사업은 환무천황의 2대 정책이라 칭해진다. 새로이 율령격식(律令格式)을 제정하고 이를 시행하여 8세기의 율령제를 수정하고 지방 정치의 쇄신을 도모하는 등 율령 정치 재건을 위해 힘쓴 천황으로 평가되고 있다. 연력 25년(806) 4월 1일에 정한 환무천황의 일본식 시호는 일본근자황통미조존(日本根子皇統彌照尊)이다.
환무천황에 관해서는 『신찬성씨록』 서(序)의 「황통미조성명(皇統彌照聖明)」 조와 좌경 황별(상) 「양잠조신(良岑朝臣)」 조(046) 황통미조천황 참조.
3. 일품식부경갈원친왕(一品式部卿葛原親王)
갈원친왕(葛原親王)은 환무천황의 셋째 아들로 『일본후기』 에 의하면 연력(延曆) 22년(803)에 4품 치부경(治部卿)에 서위되었다. 연력 25년(806) 평성천황(平城天皇) 즉위 후 대장경(大蔵卿)에 보임되어, 탄정윤(彈正尹)을 거쳐 대동 4년(809) 3품에 서위되었다. 홍인 원년(810) ‘약자(藥子)의 변’을 전후해 식부경으로 옮겼고, 차아조(嵯峨朝)에는 10년 이상 식부경을 담당하며 홍인 3년(812)에 대재수를 겸임하였다. 홍인 7년(816)에는 2품에 서위되었다.
『일본기략』 에 의하면 천장 2년(825) 3월에는 갈원친왕(葛原親王)이 상표하여 자식들에게 평조신(平朝臣)이라는 성을 사성해 줄 것을 청하였지만 허락받지 못했다고 적혀 있다. 천장 2년 7월 정미조에는 갈원친왕이 다시 상표하여 자식을 신적강하(臣籍降下)시켜 평조신(平朝臣)이라는 성을 칭하도록 해 줄 것을 요청하여 허락받았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천장 7년(830) 6월에는 2품(二品) 갈원친왕이 식부경(式部卿)이 된 기록이 보이고, 다음해 8월 정월 4일조에 갈원친왕이 1품을 수여받은 기록이 보인다. 이후에도 약 20년에 걸쳐 식부경을 역임하였다.
『속일본후기』 에 의하면 승화 5년(838) 정월에는 일품 갈원친왕을 상야태수(上野太守)를 겸하게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가상(嘉祥) 3년(850) 문덕천황(文德天皇) 즉위 후에 대재수(大宰帥)에 보임되었다. 『일본문덕천황실록』 에 따르면 인수(仁壽) 3년(853) 6월 4일에 향년 68세로 훙거하였다. 최종 관위는 1품 대재수이다. 친왕으로서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특히 식부경으로 홍인 원년(810) 임관 후 홍인 14년(823)부터 천장 7년(830)까지를 제외하고 가상 3년에 대재수로 전임하기까지 33년간 보임하였다. 훙전에는 친왕 자신이 정무에 숙달되어 조정에서 중요시되었다고 기재되어 있다.
4. 고동왕(高棟王)
고동왕은 갈원친왕의 장자이다. 뒤에 신적으로 강하되어 평조신이라는 성을 받아 평고동(平高棟)이라 불렸다. 『유취국사(類聚國史)』 99 서위(敍位)에 홍인(弘仁) 14년(823) 정월 계해(7일)조에 “무위(無位) 고동왕(高棟王)이 종4위하에 서위되었다”라고 적혀 있고, 『공경보임(公卿補任)』 승화(承和) 10년(843)조에도 평고동(平高棟)이 “홍인 14년 정월 7일 무위 고동왕 종4위하에 서위되었다”라고 적혀 있다.
5. 천장이년윤칠월(天長二年閏七月)
『공경보임』 승화 10년(843)조의 평고동의 수서에 “(천장) 2년(825) 윤7월에 아버지 친왕이 여러 차례 표를 올려 평조신 성을 받았다. 본관을 좌경(左京) 2조(二條) 2방(二坊)에 부관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일본기략』 천장 2년 3월 정묘조에는 “2품 탄정윤(彈正尹)갈원친왕이 상표하여 신의 아들과 딸에게 모두 평조신이라는 성을 내려 줄 것을 청하였지만 허가되지 못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갈원친왕이 아들, 딸에게 평조신 성의 하사를 요청한 상표는 천장 2년 3월에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천장 2년 7월 정미(6일)조에 다시 상표하여 허락받았다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평조신 성 사성을 허락받은 것은 천장 7월 6일의 일이었다. 『신찬성씨록』 과 『공경보임』 에서 윤7월이라 기재한 것은 평조신의 사성에 관한 태정관부(太政官符)가 공포된 시점에 근거한 기록이다. 또 『일본삼대실록』 정관 9년(867) 5월 19일 정사조에 기재된 평조신고동(平朝臣高棟)의 훙전(薨傳)에도 천장 2년에 평조신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6. 정관구년정월(貞觀九年正月)
『일본삼대실록』 정관 9년(867) 5월 19일 정사조에 평조신고동(平朝臣高棟)의 훙전(薨傳)이 기록되어 있다. 서위와 사성, 관직 보임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납언(大納言) 정3위 평조신고동은 환무천황의 손자이고, 1품 갈문왕의 첫째 아들이다. 홍인(弘仁) 14년(823)에 종4위하에 서위, 시종에 보임되었고, 천장(天長) 원년(824)에 대학두가 되었다. 천장 2년(825)에는 평조신이라는 성을 받고, 7년(830)에는 종4위상에 서위되고 대장경에 보임되었다. 천장 10년(833)에는 종3위에 서위되고 인수(仁壽) 원년(851)에 참의가 되었다. 천안(天安) 2년(858)에 중납언에 보임되고, 그 해 겨울에 정3위에 서위되었다. 정관 원년 영륙오출우안찰사(領陸奧出羽按察使)에 보임되고, 동 6년에는 대납언이 되었다. 연로함을 이유로 사양했지만 허락받지 못하였다. 정관 9년 5월19일에 향년 64세로 훙거하였다.
『공경보임』 정관 9년조의 ‘평고동(平高棟)’ 다음에는 “64세로 5월 19일에 죽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평고동의 고부(尻付)에는 “환무천황(桓武天皇)의 황자 1품 식부경 갈원친왕의 아들이다”라고 적혀있다. 또한 수서(袖書)에는 “홍인 14년 정월 7일 무위 고동왕 종4위하에 서위되었고, 9월에 시종(侍從)이 되었다. 천장 원년 9월에 대학두가 되고 천장2년 윤7월에 아버지 친왕의 상표로 평조신이라는 성을 받고 좌경 2조 2방에 부관되었다. 천장 3년 9월에 중무대보(中務大輔), 천장 4년 9월에 병부대보(兵部大輔), 천장 5년 윤3월에 대사인두(大舍人頭), 천장 7년 정월에 종4위상에 서위되었다. 동년 10월 13일에 대장경에 보임되고, 천장 8년에 형부경(刑部卿)에, 천장 9년 8월에 대장경(大藏卿)이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평조신(平朝臣; 다히라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3_002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