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삼간명공(三間名公; 미마나노키미)

삼간명공(三間名公; 미마나노키미)
 중신뢰대신명(仲臣雷大臣命; 나카노미노이카츠노오오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삼간명공(三間名公)
삼간명공은 미정잡성 우경 「삼간명공(三間名公)」 조(1099)에도 게재되어 있다.
『일본서기』수인천황 2년 시세조에 어간성입언오십경식천황(御間城入彦五十瓊殖天皇) 때 왜국으로 건너간 의부가라국(意富加羅國; 오호카라노쿠니)의 왕자 도노아아라사등(都努我阿羅斯等; 츠누가아라시토)에게 본국의 이름을 고쳐 어간성천황(御間城天皇; 미마키)의 이름을 따라 미마나(彌摩奈; 미마나)라고 하라고 했다는 전승이 기재되어 있다. 삼간명(三間名; 미마나)은 미마나(彌麻奈; 미마나), 어간성(御間名; 미마나)이라고도 쓴다. 임나(任那; 미마나)라는 국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내국의 삼간명공씨는 여기에만 보인다.
삼간명씨(三間名氏)는 천평 5년(733) 「우경계장(右京計帳)」(『대일본고문서』 1-492)에 미마나추정녀(彌麻奈秋庭女)와 천평승보 2년(750) 8월 28일자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대일본고문서』 25-134)에 삼간명구수만려(三間名久須万呂)가 보인다. 그러나 미정잡성 우경의 「삼간명공(三間名公)」 조(1099)에 게재된 “미마나국주(彌麻奈國主) 모류지왕(牟留知王)의 후손이다”라고 칭하는 삼간명공씨도 존재하므로 이들을 하내국의 삼간명공씨 일족이라 단정하기는 어렵다.
2. 중신뢰대신명(仲臣雷大臣命)
중신뢰대신명은 천아옥명(天兒屋命)의 11대손으로 신별(神別)의 중신지비련(中臣志斐連)의 조상이다. 중신뢰대신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상) 「중신지비련(中臣志斐連)」 조(342) 뇌대신(雷大臣) 참조.
하내국의 삼간명공은 여기에만 보인다. 삼간명공씨가 중신뢰대신명의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지만, 양자의 관계를 입증할 만한 근거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세운 조상도 의문시되므로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간명공(三間名公; 미마나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2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