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천내한인(川內漢人; 가후치노아야히토)

천내한인(川內漢人; 가후치노아야히토)
 화명명(火明命; 호아카리노미코토)의 9세손 부정명(否井命; 이나위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천내한인(川內漢人)
천내한인은 서한인(西漢人; 가후치노아야히토)이라고도 쓴다. 한반도로부터 도래한 기술자 집단으로 하내국(河內國)에 둔 한인부(漢人部), 한부(漢部)를 관장한 데서 유래한 씨명이라 추정된다.
섭진국의 천내한인(川內漢人)은 여기에만 보인다. 다만 『등원궁목간석문(藤原宮木簡釋文)』(12)에 천내한인중마려(川內漢人衆麻呂)가 보인다. 또 천내한인에 속한 천내한부(川內漢部) 혹은 하내한부(河內漢部)로는 「천평보자 2년(758) 9월 5일자 조동사사의 해안(天平寶字二年九月五日付 造東寺司解案)」(14-45)에 기재된 하내한부우전(河內漢部隅田)이 있다. 천내한인은 비중국(備中國)과 풍후국(豐後國)에 분포된 사례가 확인된다. 서한인종인(西漢人宗人)은 비중국 하도군(下道郡) 사람으로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 인수(仁壽) 2년(852) 12월 경오조에 “외종5위하 대학조교(大學助教)와 대학조(大學助)를 겸임한 서한인종인(西漢人宗人)이 자선숙녜(滋善宿禰)라는 성을 받았다”라고 적혀 있다. 또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정관(貞觀) 5년(863) 정월 20일 계미조에는 자선숙녜종인(滋善宿禰宗人)의 졸전에 인수 2년에 자선숙녜라는 성을 받은 것과 본관을 좌경(左京)으로 옮긴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풍후국의 경우는 「대보 무렵 풍후국호적(大寶頃 豐後國戶籍)」(『대일본고문서』1-515)에 천내한부좌미(川內漢部佐美), 천내한부이제지(川內漢部伊提志), 천내한부이제지(川內漢部伊提志), 천내한부도부량매(川內漢部都夫良賣) 등이 기재되어 있다.
2. 화명명(火明命)
화명명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하) 「미장숙녜(尾張宿禰)」 조(400) 화명명 참조.
3. 부정명(否井命)
부정명은 여기에만 보인다.
천내한인(川內漢人)은 여기에만 보인다. 천내한인이 조상이라 주장하는 화명명(火明命)의 9세손 부정명(否井命)도 여기에만 보인다. 천내한인과 화명명의 관계를 증명할 만한 기록이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고 세운 조상도 의문스럽기 때문에 『신찬성씨록』편찬국에서 미정잡성으로 분류하여 기재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천내한인(川內漢人; 가후치노아야히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1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