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원조(原造; 하라노미야츠코)

원조(原造; 하라노미야츠코)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가무니기하야히노미코토)이 천강(天降)할 때 시종으로 따라온 천물부현도조(天物部峴度造; 아메노모노노베노시마토노미야츠코)의 후손이다.
 
【주석】
1. 원조(原造)
원씨(原氏)는 섭진국(攝津國) 제번(諸蕃)에 「원수(原首)」 조가 게재되어 있다.
원(原; 하라)이라는 씨명은 율령제하 섭진국(攝津國) 도상군(島上郡) 원(原; 하라)이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고규시(高槻市) 원(原)지역이다.
원조(原造)는 여기에만 보인다.
천평 18년(746) 3월 26일자 「원백마려해(原白麻呂解)」(『대일본고문서』 9-156)에 기재된 무성(無姓)의 원백마려씨(原白麻呂氏)가 원조씨 일족일 수도 있다. 다만 섭진국 제번에도 원수씨가 있으므로 수성(首姓)의 원씨 일족일 가능성도 있다.
2.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의 천강(天降)
신요속일명은 『고사기』 에는 이예속일명(邇藝速日命; 니기하야히노미코토), 『일본서기』 에는 요속일명(饒速日命; 니기하야히노미코토)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일본서기』 신무천황 무오년 12월 병신조에 의하면 요속일명이 대화(大和; 야마토) 지방에서 토착 수장 장수언(長髓彦; 나가스네비코)의 여동생을 아내로 맞아 세력을 길렀는데. 신무천황이 구주를 출발하여 대판(大阪; 오사카)을 거쳐 대화 지방으로 들어오려 하자 장수언이 이를 막기 위해 싸웠다. 그러나 요속일명은 신무천황이 천신의 자손임을 알고 장수언을 죽이고 무리를 이끌고 신무천황에게 귀순하였다. 신무천황도 요속일명이 하늘에서 내려온 것을 알고 총애하였다고 한다. 또 『고사기』 신무천황단에는 “이예속일명이 찾아와서 천신인 어자에게 ‘천신인 어자가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들었기에 그 뒤를 좇아서 내려왔습니다.’라고 아뢰고 즉시 하늘의 표시인 신보를 헌상하고 받들어 모셨다”라고 적혀 있다. 이예속일명에 관해서 『고사기』 에서는 천손이 하늘에서 내려온 것을 이예속일명이 알고 뒤쫓아 내려왔다고 적혀 있으므로, 이예속일명이 신무보다 먼저 대화에 내려왔다는 『일본서기』 신무 즉위전기의 기록과는 차이가 있다. 신무기의 기사는 물부씨의 세력이 강대하던 흠명조(欽明朝)경에 성립된 전승에 기초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상) 「석상조신(石上朝臣)」 조(346)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참조.
3. 천물부현도조(天物部峴度造)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천신본기(天神本紀)에는 ‘이전물부(二田物部)’ 이하 ‘축자지전물부(筑紫贄田物部)’까지 25물부 가운데 ‘천물부(天物部)’가 보인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현도조(峴度造; 시마토노미야츠코)는 천신본기의 25물부 가운데 ‘도호물부(島戶物部; 시마토노모노노베)’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구사기(舊事紀)』 또는 『구사본기(舊事本紀)』 라고도 한다. 저자 미상의 사서로 서문에는 “추고천황(推古天皇) 28년(620) 성덕태자(聖德太子)와 소아마자(蘇我馬子)가 찬록하였다”라고 적혀 있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기록된 내용에 기초하여 평안(平安) 시대 초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사서이다. 전체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신대(神代)부터 추고천황 대까지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국조본기(國造本紀)」 와 「천신본기(天神本紀)」 가 인용되어 있다.
원조씨 자체가 『신찬성씨록』 에만 보인다. 『선대구사본기』 에 천물부는 보이지만 천물부현도조(天物部峴度造)도 확인되지 않는 존재이다. 따라서 원조가 주장한 천물부현도조와의 관계를 입증할 근거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신찬성씨록』 편찬국에서 미정잡성에 기재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원조(原造; 하라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