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대록수(大鹿首; 오카노오비토)

대록수(大鹿首; 오카노오비토)
 진속혼명(津速魂命; 츠하야무스비노미코토)의 3세손 천아옥근명(天兒屋根命; 아메노코야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대록수(大鹿首)
대록(大鹿; 오카)이라는 씨명은 『고사기』 와 『일본서기』 등에 모두 이세대록수(伊勢大鹿首)가 보이고, 『연희식(延喜式)』신명장(神名帳)의 이세국(伊勢國) 하곡군(河曲郡)조에 대록삼택신사(大鹿三宅神社; 오카미야진자)가 보이므로, 대록이라는 씨명은 이세의 대록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삼중현(三重縣) 영록시(鈴鹿市)지전정(池田町)이다.
『고사기』 민달천황단(敏達天皇段)에는 “이세대록수(伊勢大鹿首)의 딸 소웅자랑녀(小熊子郎女)를 취해 낳은 아이가 포두비매명(布斗比賣命)과 보왕(寶王), 다른 이름은 강대비매(糠代比賣)이다”라고 적혀 있고, 『일본서기』 민달천황 4년(575) 정월 시월조에는 “채녀(采女)인 이세대록수소웅(伊勢大鹿首小熊)의 딸 토명자부인(菟名子夫人)과 사이에서 태희황녀(太姬皇女, 다른 이름은 櫻井皇女)와 강수희황녀(糠手姬皇女, 다른 이름은 田村皇女)를 두었다”라고 적혀 있다. 전촌황녀는 인판일자인태자(忍坂日子人太子)와 혼인하여 전촌황자(田村皇子, 뒤의 舒明天皇)를 낳았다. 이세대록수와 왕권의 연결이 확인된다.
이세국(伊勢國) 하곡군(河曲郡)에서 발굴된 대록폐사적(大鹿廢寺跡)은 출토 유물로 보아 백봉기(白鳳期)에 창건된 것으로, 이세대록수의 씨사라고 추정되고 있다. 이세국분사(伊勢國分寺)도 하곡군에 소재한다. 그런데 이세국부(伊勢國府)는 영록군(鈴鹿郡)에 소재하고 있어 국부와 국분사가 같은 군에 소재하는 일반적인 존재 방식과 다르다. 이것은 하곡군을 본거로 삼고 있던 이세대록수가 무시할 수 없는 존재였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 평성궁적 출토 목간에서 삼하국(三河國) 악미군(渥美郡)에 ‘대록부리(大鹿部里)’가 존재한 것이 확인되고 있어 이세대록수의 세력은 이세만(伊勢灣)과 삼하만(三河灣)을 끼고 삼하국까지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세대록수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와 『고사기』 에 나오는 이세대록수소웅이 있다. 또 『평성궁적발굴조사출토목간개보(平城宮蹟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10-5, 1975)에 ‘삼천국포해군대록부리인(三川國飽海郡大鹿部里人) 대록□□어조염□두(大鹿□□御調鹽□斗)’라고 적힌 목간이 보인다. 여기에 기재된 ‘대록□□어조염’도 대록수씨 일족이라 여겨진다. 『영락유문(寧樂遺文)』(下-622)에 수록된 「천평승보 4년(752) 11월 18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6 발어(天平勝寶四年十一月十八日 大乘阿毗達摩雜集論卷十六跋語)」에 대록석별(大鹿石別)이 보이는데 대록수씨 일족일 가능성이 있다.
2. 진속혼명(津速魂命)
『존비분맥(尊卑分脈)』 에 실린 〈등원씨계도(藤原氏系圖)〉에는 ‘천어중주존(天御中主尊)-천팔하존(天八下尊)-천삼하존(天三下尊)-천합존(天合尊)-천팔백일존(天八百日尊)-천팔백만혼존(天八百萬魂尊)-진속혼존(津速魂尊)’으로 이어지는 계보가 보인다. 진속혼명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神別)(상) 「등원조신(藤原朝臣條)」 조(336) 진속혼명(津速魂命) 참조.
3. 천아옥근명(天兒屋根命)
천아옥명(天兒屋命)과 같다. 천아옥근명에 관해서는 좌경 신별(상) 「등원조신」 조(336)천아옥명 참조.
대록수는 진속혼명(津速魂命)의 3세손 천아옥근명(天兒屋根命)의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는데, 좌경 신별(상)의 등원조신(藤原朝臣; 후지하라노아소미)도 진속혼명의 3세손 천아옥명(天兒屋命, 『일본서기』 에는 천아옥근명[天兒屋根命]으로 표기)에서 나왔다고 적혀 있다. 따라서 대록수가 등원씨와 같은 집안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신찬성씨록』 편찬국은 이러한 주장을 참칭으로 간주하여 인정하지 않아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록수(大鹿首; 오카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