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상진인(成相眞人; 나리아히노마히토)

성상진인(成相眞人; 나리아히노마히토)
 정중창태주부천황(渟中倉太珠敷天皇; 누나쿠라후토타마시키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민달(敏達; 비타츠)이다.]의 황자 난파왕(難波王; 나니하노미코)의 후손이다.
 
【주석】
1. 성상진인(成相眞人)
성상(成相; 나리아히)이라는 씨명은, 『속일본기』 문무천황(文武天皇) 4년(700) 8월 무신조에 나오는 성회산릉(成會山陵)의 성회가 ‘나리아히’로 훈독되므로 성상이라는 씨명이 성회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연희제능료식(延喜諸陵寮式)』 “압판언인대형황자(押坂彦人大兄皇子)의 성상묘(成相墓)가 대화국(大和國) 광뢰군(廣瀨郡)에 있다”라고 적혀 있다. 율령제하 대화국(大和國) 광뢰군(廣瀨郡) 필상촌(疋相村)에 해당된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북갈성군(北葛城郡) 광릉정(廣陵町) 필상(疋相) 지역이다.
성상진인은 여기에만 보인다.
2. 정중창태주부천황(渟中倉太珠敷天皇)
정중창태주부천황은 제30대 천황(재위 572~585)이다. 중국식 시호는 민달천황이다. 『고사기』 에는 소명창태주부명(沼名倉太珠敷命; 누나쿠라노후토타마시키노스메라미코토)이라 기재되어 있다. 물부씨(物部氏), 중신씨(中臣氏)와 함께 배불론의 입장에서 소아마자(蘇我馬子)와 대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민달천황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 「노진인(路眞人)」 조(006)의 민달천황 참조.
3. 난파왕(難波王)
민달천황의 아들이다. 『고사기』 민달천황단에는 “춘일중약자(春日中若子; 가스가노나카츠키미)의 딸이 난파왕(難波王), 상전왕(桑田王), 춘일왕(春日王), 대오왕(大俁王)을 낳았다”라고 기재되어 있고, 『일본서기』 민달천황 4년(575) 정월 시월조에는 “춘일신중군(春日臣仲君; 가스가노나카츠와고)의 딸 노녀자부인(老女子夫人)이 아들 셋과 딸 하나를 낳았는데, 그 첫째가 난파황자(難波皇子)이다”라고 적혀 있다. 난파왕(難波王)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 「노진인」 조(006) 난파왕(難波王) 참조.
“민달천황의 황자 난파왕”이라는 계보 기록에는 오류가 없다. 그러나 성상진인씨가 『신찬성씨록』 에만 보이고 있어 성상진인과 민달천황의 황자 난파왕의 관계를 증명할 만한 증거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신찬성씨록』 편찬국에서 미정잡성으로 분류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상진인(成相眞人; 나리아히노마히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