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지련(高志連; 고시노무라지)

고지련(高志連; 고시노무라지)
 문숙녜(文宿禰; 후미노스쿠네)와 조상이 같으며, 왕인(王仁; 와니)의 후손이다.
 
【주석】
1. 고지련(高志連)
고지(古志)의 씨명은 고지(高志)라고도 쓴다.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판합촌월(坂合村越)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명일향촌(明日香村) 대우월(大宇越)이다. 고지련씨의 옛 성은 사(史)이다. 『속일본기』 신호(神護) 2년(766) 12월조에 “화천국(和泉國) 사람 외종5위하 고지비등약자마려(高志毗登若子麻呂)등 53인에게 고지련(高志連) 성을 주었다”라고 하듯이 이해에 고지비등약자마려 등이 고지련의 씨성을 받았다.
고지련씨 일족으로 사(史, 毗登) 성의 인물로는 천평(天平) 11년(739) 8월 11일부 「시약원반초(施藥院返抄)」(『大日本古文書』 2-180)에 고지사광도(高志史廣道)가 있고, 계시(堺市) 토탑정(土塔町) 대야사(大野寺)에 건립된 토탑에서 출토된 기와명(堺市敎育委員會, 2004, 『史迹と土塔-文字瓦聚成』)에 사찰 건립에 보시한 고지사(高志史, 闕名)가 있다. 『속일본기』 천평신호(天平神護) 2년(766) 4월 갑인조의 “대화국인(大和國人) 고지비등구미미(高志毗登久美咩) 등 17인은 제 능료(陵寮)에 의해 처벌받아 능호(陵戶)가 되었으나, 억울함을 호소하여 무죄를 인정받아 능호의 신분에서 벗어났다”라고 하는 기록에서 고지씨의 인명이 보인다.
2. 문숙녜(文宿禰)
문숙녜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상) 「문숙녜」 조(745) 참조.
3. 왕인지후(王仁之後)
나량 시대의 백제계 고승 행기(行基)의 묘지명인 천평(天平) 21년(749) 3월 23일부 「대승상사리병기(大僧上舍利甁記)」 에 “본래 백제 왕자 왕이(王爾)의 후손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왕이(王爾)라는 인물은 왕인(王仁)이다. 나량 시대에는 왕인을 선조라고 주장하는 백제계 씨족들이 많이 나온다. 왕인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상) 「무생숙녜」 조(747) 왕인 참조.
나라의 당초제사(唐招提寺)에 전하는 『죽림사약기(竹林寺略記)』 에 따르면, 행기묘(行基墓)는 문력(文曆) 2년(1235)에 발굴될 당시 8각 석통에 동통(銅筒)을 납입했는데, 그중에 「행기보살유신사리지병(行基菩薩遺身舍利之甁)」 이라는 은찰(銀札)을 붙인 은제사리병이 봉안되었다고 한다. 17행 309자로 되어 있는 「대승상사리병기」 에 행기는 천평 21년(749)에 우경의 관원사(菅原寺, 喜光寺)에서 사망하고, 생구산(生駒山) 동쪽 기슭에서 화장되어 죽림사(竹林寺) 경내에 매장하였다고 한다. 현재 이 행기의 화장묘에서 출토된 동제의 묘지 단편 4행 21자가 남아 있다. 『죽림사약기』 에 기록된 「대승상사리병기」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대승상사리병기(大僧上舍利甁記)〉
和上法諱法行 一號行基 藥師寺沙門也 俗姓高志氏 厥考諱才智 字智法君之長子也 本出於百濟王子王爾之後焉 厥妣蜂田氏 諱古爾比賣 河內國大鳥郡蜂田首虎身之長女也 近江大津之朝 戊辰之歳 誕於大鳥郡 至於飛鳥之朝 壬午之歳出家歸道 苦行精勤 誘化不息 人仰慈悲 世稱菩薩 是以天下蒼生 上及人主 莫不望塵 頂禮奔集如市 遂得 聖朝崇敬 法侶歸服 天平十七年 別授大僧 正之任 竝施百戶之封 于時僧綱已備 特居其上 雖然不以在懷 勤苦彌厲 壽八十二 廿一年二月二日丁酉之夜 「右脇而臥 正念如常 嚴終於右京菅原寺 二月八日火葬於大倭國平群郡生馬山之東陵 是依遣命也 弟子僧景靜等 攀號不及 瞻仰無見 唯有砕殘舍利」 然盡輕灰 故蔵此器中 以爲頂禮之主 界彼山上 以慕多寶之塔
天平廿一年歲次己比丑三月廿三日 沙門眞成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지련(高志連; 고시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4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