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박조(狛造; 고마노미야츠코)

박조(狛造; 고마노미야츠코)
 고려국주(高麗國主) 부련왕(夫連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박조(狛造)
『일본서기』 흠명기(欽明紀) 26년(565) 5월조에는 “고려인 두무리야폐(頭霧唎耶陛) 등이 축자(筑紫)에 투화하여, 산배국(山背國)에 안치하였다. 지금의 무원(畝原), 나라(奈羅), 산배(山背) 고려인의 선조이다”라고 하였듯이 산성국 박조씨(狛造氏)의 선조 기원 설화가 기록되어 있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10년(843) 11월조에 육오국(陸奧國) 백하군(白河郡) 백성 외종8위상 훈9등 박조지성(狛造智成)이 육오백하련(陸奧白河連)으로 개성하였고, 동 안적국(安積郡) 백성 외소초위하 박조자압마려(狛造子押麻呂)에게 육오안달련(陸奧安達連)의 씨성을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듯이 일족의 인명이 보인다. 박조씨 일족으로는 『평안유문(平安遺文)』(1-215)에 박광씨(狛廣氏), 박수씨(狛守氏) 등 고구려계 인명이 있다.
2. 부련왕(夫連王)
이 인명은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고구려 왕 중에는 고국양왕이 이련(伊連), 장수왕이 거련(巨連)과 같은 이름이 있어 부련왕(夫連王)도 고구려 왕족 출신일 가능성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박조(狛造; 고마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10_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