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우산하고분군

禹山墓區
  • 저필자
    권순홍(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시대
    고구려
  • 위치
  • 관련자료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북쪽으로는 우산에 닿아있고, 남쪽으로는 압록강에 이르며, 동쪽은 용산에서 시작하여 서쪽은 통구하에 이르는 무덤군이다.
유적개관
통구고분군에서 가장 중심이 되고 가장 큰 고분군이다. 서쪽은 적석총이 많으며, 동쪽은 봉토분이 많다. 북쪽은 적석묘가, 남쪽의 완만한 산비탈에는 봉토분이 대부분이고, 북과 남쪽의 중간에는 적석총과 봉토분이 섞여있다. 2005년 조사 결과 3,680기의 무덤이 잔존하고 있음이 알려졌고, 대표적인 무덤으로는 장군총, 태왕릉, 임강총, 각저총, 무용총, 삼실총, 오회분 등이 있다.
참고문헌
「集安高句麗墓葬」, 2007
해설
중국 길림성 집안시는 고구려의 두 번째 도성 국내성이 자리했던 곳이다. 따라서 압록강을 따라 길게 펼쳐진 집안 분지에는 1만2천여기가 넘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이 흩어져 있다. 이를 통구 고분군이라고 하는데, 다시 7개의 구역별로 나누어 분류한다. 국내성을 중심으로 그 동쪽에는 가장 먼 곳부터 장천고분군, 하해방고분군(下解放古墳群), 우산하고분군(禹山下古憤群)이 위치하고, 국내성의 북쪽에 산성하고분군(山城下古墳群)이 있으며, 서쪽에는 만보정고분군(萬寶汀古墳群), 칠성산고분군(七星山古墳群), 마선구고분군(麻線溝古墳群) 순으로 자리한다.
그 가운데 우산하 고분군은 동쪽의 용산에서 서쪽의 통구하에 이르는 우산 아래 산기슭과 평야지대에 분포한다. 이 고분군은 동서 방향으로 좁고 기다랗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남쪽에 국내성이 자리 잡고 있다. 통구 고분군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3,680기의 고분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1,978기만이 현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분 유형별로는 적석총이 994기(29%), 봉토분이 202기(6%), 동실묘가 2,275기(65%)로 동실묘가 가장 많다. 적석총은 무기단적석총이 365기, 기단식적석총이 398기, 계단식적석총이 231기로 구성되어 있다. 계단식적석총 중에서 매장주체부가 석실인 것이 10기, 봉토분 중에서 봉분 하단에 기단이 있는 기단봉토분도 3기 포함되어 있다. 대체로 적석총은 구릉에, 봉토분은 구릉의 말단면이나 평지에 자리하고 중간지점에는 적석총과 봉토분이 혼재하며, 적석총은 서쪽 부분에, 봉토분은 동쪽 부분에서 다수를 점한다. 고분의 0%정도는 봉토석실분이고, 나머지는 적석총이었다. 일제시기의 철로공사로 남단의 많은 고분이 파괴되었다. 고분군의 규모에 비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고분이 많지는 않은데, 1984년부터 1985년에 걸쳐 집안-석림호특(錫林浩特) 간 도로를 건설하면서 113기의 고분이 발굴되어 보고되었으나, 개별 고분에 대한 자세한 상황은 알 수 없다. 그밖에도 개별 고분에 대한 간헐적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2000년 이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태왕릉 등 일부 왕릉급 고분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비교적 상세한 보고서가 간행되었다.
잘 알려진 고분으로는 장군총과 태왕릉, 임강총 등이 대표적인 대형 적석총이며, 각저총, 무용총, 삼실총, 통구12호분은 생활풍속도가 있는 석실봉토벽화분이고, 오회분4호분과 5호분은 사신도가 있는 석실봉토벽화분이다. 또한 우산하3319호분은 벽화가 있는 벽돌로 축조된 계단적석총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우산하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