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석두하자고성

石頭河子古城
  • 저필자
    이현주(성균관대학교)
  • 시대
    발해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吉林省) 혼춘시(琿春市) 판석향(板石鄕) 태양촌(太陽村) 반가구둔(潘家溝屯) 동남1500m 하곡평지(河谷平地)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832m, 남: 287m, 북: 288m, 동: 123m, 서: 134m
입지
동쪽과 서쪽, 남쪽 3면은 높고 험준한 산봉우리이고, 서북쪽은 지세가 넓게 펼쳐져 있으며, 훈춘분지와 서로 이어져 있다. 성에서 남쪽으로 약 20m 떨어진 곳에 석두하(石頭河)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흘러 혼춘하(琿春河)로 들어간다. 동남쪽으로 2.5km 떨어진 곳은 중소국경의 분수령인 장령자(長嶺子)이다. 성의 남쪽과 북쪽에는 3개의 구릉이 서로 이어져있고, 너비가 약 1km에 달하는 좁고 긴 하곡평지를 형성한다. 남쪽의 구릉에는 장령자(長嶺子)로 통하는 도로가 있다.
유적개관
석두하자성(石頭河子城)의 평면은 장방형이며 방향은 30도이다. 성벽의 잔고는 2~2.5m이며, 너비는 8~10m로, 돌로 축조하였다. 사방의 성벽 가운데 각각 1개씩 문지가 있다. 북쪽 성벽 서쪽에 구멍이 1곳, 남쪽 성벽 동쪽에 구멍이 2곳이 있고, 사방 모서리에는 모두 각루(角樓)가 있으나, 마면(馬面), 옹성(甕城)과 해자유적은 보이지 않는다. 성 안 가운데는 본채(정방(正房)),동서 행랑(상방(廂房))과 돌로 쌓은 담장 구조의 건축유지가 있고, 그 남북 길이는 약 80m, 동서 너비는 36m이며, 뜰 안에서 동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우물자리가 있다.
유물개관
자리무늬, 새끼줄무늬, 網格무늬 기와, 수키와, 니질도편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석두하자고성(石頭河子古城)은 발해시기의 성지이다. 석두하자고성은 중국의 길림성(吉林省) 혼춘시(琿春市) 판석향(板石鄕) 태양촌(太陽村) 반가구둔(潘家溝屯)에서 동남쪽으로 1500m 떨어진 곳에 있는 하곡평지(河谷平地)에 위치한다. 석두하자고성이 입지한 곳은 동·서·남의 3면이 높고 험준한 산봉우리이다. 서북쪽은 지세가 넓게 펼쳐져 있으며, 훈춘분지와 서로 이어진다. 성에서 남쪽으로 약 20m 떨어진 곳에는 석두하(石頭河)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흘러 훈춘하(琿春河)로 들어간다. 또한 석두하자고성의 남쪽과 북쪽에는 3개의 구릉이 서로 이어져 너비 약 1㎞에 달하는 좁고 긴 하곡평지를 이룬다. 남쪽 구릉에는 장령자로 통하는 도로가 있다. 석두하자고성의 평면은 장방형이며 방향은 30도이다. 성벽의 높이는 2~2.5m이며, 너비는 8~10m로, 돌로 축조하였다. 사방의 성벽 가운데 각각 1개씩 문지가 있다. 북쪽 성벽 서쪽에 구멍이 1곳, 남쪽 성벽 동쪽에 구멍이 2곳이 있고, 사방 모서리에는 모두 각루(角樓)가 있으나, 치[馬面], 옹성(甕城)과 해자 유적은 보이지 않는다. 성 안 가운데는 본채(正房), 동서 행랑(廂房)과 돌로 쌓은 담장 구조의 건축 유지가 있다. 건축유지의 남북의 길이는 약 80m이고, 동서의 너비는 36m이며, 뜰 안에서 동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우물자리가 있다. 석두하자고성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자리무늬, 새끼줄무늬, 그물 무늬의 기와, 수키와, 암키와, 니질도편 등이 있다. 암키와와 수키와 모두 안쪽에 거친 베무늬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석두하자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70_0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