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일치조(日置造; 헤키노미야츠코)

일치조(日置造; 헤키노미야츠코)
 고려국(高麗國) 사람 이리수의미(伊利須意彌)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일치조(日置造)
일치(日置)의 씨명은 일치부(日置部)의 반조씨족으로부터 유래한다. 일치씨는 원래 궁내성 주전료 전부(殿部)의 부명씨(負名氏) 중 하나로, 본거지는 대화국(大和國) 갈성군(葛上郡) 일치향(日置鄕)이다.
일치조씨의 일족으로는 천평(天平) 10년(738) 「준하국정세장(駿河國正稅帳)」(『大日本古文書』 2-108)에 일치조석족(日置造石足), 천평 10년 「주방국정세장(周防國正稅帳)」(동 2-133)에 일치조삼립(日置造三立), 천평 17년 9월 21일 「지식우바새등공진문(智識優婆塞等貢進文)」(동 25-131)에 일치조백마려(日置造白麻呂), 천평 24년 4월 24일부 「사경소해(寫經所解)」(동 3-79)에 일치조곤만려(日置造蔉萬呂)·일치조남성(日置造男成) 등이 보인다. 앞의 일치조곤만려는 『속일본기』 보귀(寶龜) 8년(777) 4월 갑신조에 영정숙녜(榮井宿禰)로 개성하였다. 동 신호경운(神護慶雲) 원년(767) 8월 계사조에 나오는 일치조통형(日置造通形)도 동 보귀 11년(780) 3월 임자조에 영정숙녜통형(榮井宿禰通形)으로 나오고 있어 일치조곤만려와 같은 시기에 개성했다고 보인다. 동 천평승보(天平勝寶) 6년(754) 정월 임자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일치조진묘(日置造眞卯)가 있다.
『속일본기』 보귀 8년(777) 4월 갑신조에 일치조웅삼성(日置造雄三成)과 일치조반마려(日置造飯麻呂)는 각각 조정숙녜(鳥井宿禰)와 길정숙녜(吉井宿禰)의 씨성을 받아 개성하였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9년(867) 11월 을묘조에 일치조구미마(日置造久米麿)는 관원조신업리(菅原朝臣業利)로 개성하였다.
이 외에도 등원경, 평성궁 등지의 출토 목간에서 일치조금(日置造金,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74, 『平城宮木簡』 2), 일치조(日置造,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93, 『飛鳥藤原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1) 등 다수의 일치조 인명이 나온다.
2. 이리수의미(伊利須意彌)
『일본서기』 황극기(皇極紀) 원년(642) 정월조에 대신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 이리카스미)가 나오는데, 곧 고구려 연개소문을 가리킨다. 또 동 제명기(齊明紀) 2년(656) 8월조에 일본에 온 고구려 사신 중에 부사이리지(副使伊利之)라고 하여 이리지라는 인명이 나온다. 이리수의미(伊利須意彌)의 의미(意彌)는 사주(使主)와 같이 ‘오미’로 읽으며 동의어이다. 따라서 이리화수사주(伊理和須使主)를 포함해서 『신찬성씨록』 에 보이는 고구려계 씨족의 인명인 이리수의미(伊利須意彌), 이리수사주(伊利須使主), 이리화수사주(伊利和須使主), 이화수(伊和須) 등은 모두 동일 계통의 씨명으로 생각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일치조(日置造; 헤키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