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2) 1호 주거지

1980년에 제1구역의 남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절반이, 1981년에 그 남쪽으로 확장한 제4구역에서 나머지 절반이 각각 조사되었다(도면 170; 175). 표토(두께 4~10㎝)와 경작토층(두께 6~20㎝)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주거지 수혈의 깊이는 ‘생토’ 상면에서 110㎝이다. 주거지 수혈의 윗부분은 78㎝ 깊이까지는 암회색 모래층이고, 그 아래는 가운데 부분은 두께 18~22㎝, 가장자리 부분은 두께 79㎝까지 명회색 모래층이다. 주거지 바닥은 숯과 소토가 드물게 섞여 있는 단단한 암갈색 사질토이다. 바닥에서 자갈돌이 다수 확인되었다. 평면 모양은 준장방형이며, 크기는 따로 보고되지 않았지만 도면을 통해 볼 때에 대략 동서 3m, 남북 2.6m 정도이다.
도면 175 | 크라스키노성 제1구역 단면도(1980)
1호 주거지 수혈의 윗부분을 채우고 있는 암회색 모래층은7 호 구덩이(깊이 26㎝)의 내부 퇴적토이다. 볼딘 V.I.는 7호 구덩이와 1호 주거지는 겹 놓인 관계로서 1호 주거지는 제1구역에서 조사된 다른 구덩이들보다 조금 이른 시기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토층도를 보면 1~12호 구덩이는 어깨선이 경작토층 바로 아래에서 시작되고, 1호 주거지는 7호 구덩이와 겹치지 않은 곳은 역시 어깨선이 경작토층 바로 아래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시기 차이가 거의 없었을 것이다.
1호 주거지로 보고된 이 유구에서는 노지나 구들 혹은 기둥구멍이 전혀 발견된 것이 없다. 때문에 이 유구가 정말 주거지였는지에 대해서는 의심이 간다.
1호 주거지의 내부퇴적토인 암회색 사질토층에서는 205점의 회색 윤제토기편과 23점의 적색 및 4점의 흑색 윤제토기편, 부정형의 철제 유물편이 수습되었다. 주거지의 바닥에서도 14점의 회색 윤제토기편과 10점의 적색 윤제토기편 그리고 회색 와편과 놀이 알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주거지 내의 줴3방-안에서는 지표 아래 60㎝ 깊이에서 내면에 3개의 심봉이 있는 하트모양의 청동 장식이 1점(도면 1980-12)(도면 740, 1) 출토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2) 1호 주거지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3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