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경사(京師)로 돌아가는 상공(相公) 호환(胡煥)에게 감사하는 회게(回揭)

26. 回帖
  • 출전
    事大文軌 卷8: 54b-56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296~299쪽
26. 回帖
 
夙聞高義. 尙阻良覿, 空切嚮徃, 未展下誠. 玆承尺蹏之問, 委示滿腔之誠, 諄諄誨論, 警發多矣. 不穀何幸得此於左右哉. 久知南昌素多人傑, 古今未宜殊徐孺子之後, 復有其人矣. 劉總戎遠臨弊邦, 駐節南陲軍旅方殷, 而猶且禮賢迎師, 聞所未聞. 高明爲總戎跋涉殊方千里無難, 盖有兩美相濟之義. 議及軍事, 唯以相機勦撲, 爲先廓淸之功, 行有日矣. 甚盛甚盛. 至於和議撤兵, 小邦極知其非計, 而不敢力爭, 秪切憂悶, 不意高明之見, 乃與之脗合也, 可謂先得我心也, 尤用歎服. 弊邦自箕子受封而來, 頗知以禮讓爲治, 越至先祖開國, 首被聖朝東漸之化. 歷年二百, 久狃昇平, 干伐不試, 民不知兵, 一朝海寇猝至, 將士嬰鋒潰敗, 相仍三都俱陷 一方僅存宗社, 灰燼生齒蕩盡. 此雖三韓陽九之會, 而君相不言命, 古有其語. 不穀叨守弊邦, 而亦曰人牧斯乃人事之未盡, 武略之不競, 豈敢諉之氣數, 而少緩於自責乎. 幸賴聖天子恩深子視, 曲加矝恤, 出兵拯救, 一鼓而復平壤, 餘威震疊, 兇醜宵熸, 七道幾還版籍, 賊之所據者, 只慶尙一隅而已. 不籍皇靈, 曷有今日. 此所以北望宸極, 唯思糜粉以報者也. 回天配命求福, 實是今日之急務. 不穀雖無似, 敢不奉以周旋. 至於用賢圖治, 迸憸搜逸, 罷無藝而寬民力, 一言一藥, 皆是對證. 旣蒙仁人之言, 將見利博之日, 爲賜大矣. 弊邦之於此賊, 盖萬世必報之讎, 顧力不足耳. 豈敢晷刻而暫弛甞膽之心乎. 高明之爲弊邦計者, 一至於此, 益增感刻, 不知所喻. 纔見勿藥, 繼有旋軫之行, 千里長途, 千萬節宣, 以副慕用之懷. 心之精微, 言不能盡, 惟冀諒察.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경사(京師)로 돌아가는 상공(相公) 호환(胡煥)에게 감사하는 회게(回揭) 자료번호 : sdmg.d_0002_0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