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월은(月銀)을 군량(軍糧) 보급에 보충하는 일에 관해 조선국왕에게 보낸 자문(咨文)

46. 劉捴兵行査本國解送月銀
  • 발신자
    흠차비왜총병관우군도독부도독첨사 유(정)
  • 발송일
    1594년 3월 13일(음)(만력 22년 3월 13일)
발신: 흠차비왜총병관우군도독부도독첨사 유(정)
사유: 월은(月銀)주 001
각주 001)
월급으로 주는 은을 지칭한다.
닫기
을 보내어 군량 보급에 보충하는 일입니다.
 
[유정] 올해 1월 18일에 조선국왕이 보낸 자문을 받았습니다.
[조선국왕] 가만히 살펴보니 대군이 바다와 육지를 방수함에 일월로 이슬을 맞으며 이역에서 온갖 어려움을 당하고 있습니다. 폐방도 병화를 겪어 공사가 모두 고갈돼 공급 전반에 흠결이 많을 뿐 아니라, 월은으로 지급할 은량도 아직 충분히 거두지 못했습니다. 하사하신 은 3,000냥을 도총부경력 박지진(朴知進)에게 가져가게 하여, 다행히 월은의 만분의 일이라도 계산하여 준급(准給)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각 영의 군병에게 나누어 주어 군량에 보탬이 되는 바탕으로 삼아 주십시오.
[유정] 이를 받고 이전의 문서를 조사해 보니, 이전에 흠차경략병부우시랑 송(宋)으로부터 「잠시 대군을 (조선에) 머무르게 함으로써 외번을 굳세게 하며 내지를 안정시키라.」라는 부패를 받들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송응창] 각 진으로 원래 지급될 월향(月餉)주 002
각주 002)
군대에서 한 달 간 공급하는 양식을 말한다.
닫기
·행량(行粮)·절인 채소[塩]는 요동의 군량 담당 아문의 향은(餉銀) 내에서 지급하고 각 군병의 군복용 은 6전과 이틀에 한 번 지급될 본색(本色)주 003
각주 003)
쌀로 거두는 조세를 말한다.
닫기
양료(糧料) 중 전항에 없는 것들은 모두 조선국왕의 지급과 관계되는 것입니다.
[유정] 뜻을 받들었습니다. 이러한 내용이 문서에 있습니다. 지금 운송된 은 3,000냥이 군영에 도착했습니다. 보내온 문서를 상세히 살펴보니, 개별 항목의 기재가 명백하지 않습니다. 만약 제가 거느린 본부의 5,000명 군병에게 전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면 도착한 은 3,000냥은 (병사들이) 한 달간 신을 수 있는 가죽신의 수량에 적합합니다. 만약 16,000명에게 균등히 공급해 처리할 것이면주 004
각주 004)
원문의 ‘善後’는 재난이나 어려운 일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하는 후속조치를 뜻한다.
닫기
이제 도착한 은을 융통하여 나누어 계산해서 금액 내에서 표하군이 마땅히 받아야 할 얼마 분을 제하고 그 나머지는 모두 돌려보내 속히 전도(前途)로 가져가도록 하여 남북의 각 영에 분급한다면 은량이 뒤섞이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에 마땅히 자문을 보내니 귀국은 번거롭더라도 살펴 조사하시고 바라건대 회자하여 처분의 근거로 삼게 하시길 바랍니다. 청컨대 지체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자문이 잘 도착하기를 바랍니다.
이 자문을 조선국왕에게 보냅니다.
 
만력 22년 3월 13일.

  • 각주 001)
    월급으로 주는 은을 지칭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군대에서 한 달 간 공급하는 양식을 말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쌀로 거두는 조세를 말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의 ‘善後’는 재난이나 어려운 일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하는 후속조치를 뜻한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월은(月銀)을 군량(軍糧) 보급에 보충하는 일에 관해 조선국왕에게 보낸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k_0002_0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