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유격장군(遊擊將軍) 주홍모(周弘謨)의 기민(飢民) 구제와 왜호(倭戶) 등에 대한 회첩(回帖)

37. 周遊擊回帖
본직이 총독부원의 명을 받들고 특별히 왜적의 정세를 체찰하는 일과 귀국의 사직을 안정시키는 계획을 전담하게 되었습니다. 대개 천조에서 귀방을 대하기를 갓끈만 매고 도울 정도로주 001
각주 001)
다른 집안에 싸움이 나면 의관을 갖추고 말리며, 같은 집안에서 싸움이 나면 머리카락을 풀어헤친 채 서둘러 갓을 쓰고 말린다는 내용이다. 여기서는 명에서 조선의 일을 같은 집안의 일처럼 서둘러 도와주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孟子』 離婁 下 “被髮纓冠”.
닫기
의리가 간절하며 호오와 화복을 함께 맞추어 나가지 않는 바가 없었고 문서가 오고 갈 때는 깊은 부분까지 정성으로 타이르고 온전히 이해해 왔습니다. 그래서 무릇 이 모든 것은 총독부원이 계획을 세워 대처하고 군량을 운송하는 것입니다. 총독부원의 가슴속에 수십만의 갑병이 있어 어떻게 움직이는 것이 타당한지를 스스로 알고 있습니다만, 본직이 직접 왜추주 002
각주 002)
조선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 장수들을 가리킨다.
닫기
를 만나 유시한 후 사실에 입각해서 보고하면 헤아려 결정하실 것이며 단연코 귀국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을 것입니다. 양곡으로 굶주린 백성을 구한다는 조선의 요청에 대해서는 본직이 저번에 이미 갖추어 아뢰었는데 지금 자문을 보니 마땅히 다시 힘써 독촉하겠습니다. 부산(釜山)에 전쟁 이전부터 왜호(倭戶)가 거주하고 있었다는 방문(榜文)의 내용과 관련하여 대개 귀방의 『여지승람(輿地勝覽)』을 근거로 삼았을 뿐입니다. 그러나 왜이(倭夷)가 바다를 건너가면 일단 항복을 비는 것을 허락하는 것이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대병(명군)이 다시 이르는 것입니다. 오직 이 두 가지 선택이니, 더는 다른 안이 없을 것입니다. 상주하는 왜호의 유무 여부는 결코 성패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없습니다. 다양한 사안과 관련한 정세 판단에 대해서 글로 다할 수 없으나 전체적으로 신뢰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여지승람』 전본을 빌려 한번 검토하면 어떨까 합니다.

  • 각주 001)
    다른 집안에 싸움이 나면 의관을 갖추고 말리며, 같은 집안에서 싸움이 나면 머리카락을 풀어헤친 채 서둘러 갓을 쓰고 말린다는 내용이다. 여기서는 명에서 조선의 일을 같은 집안의 일처럼 서둘러 도와주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孟子』 離婁 下 “被髮纓冠”. 바로가기
  • 각주 002)
    조선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 장수들을 가리킨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유격장군(遊擊將軍) 주홍모(周弘謨)의 기민(飢民) 구제와 왜호(倭戶) 등에 대한 회첩(回帖) 자료번호 : sdmg.k_0002_0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