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광정련(廣井連; 히로이노무라지)

광정련(廣井連; 히로이노무라지)
 백제국(百濟國) 피류왕(避流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광정련(廣井連)
광정(廣井)의 씨명에 대해서는 『화명유취초(和名類聚抄)』 에 미작국(美作國) 영다군(英多郡)의 광정향(廣井鄕)이라는 지명이 나온다. 미작국은 화동(和銅) 6년(713)에 비전국(備前國)의 북부 6군을 분할하여 설치하였다. 광정의 지명설에 대해 미칭이라는 설도 있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10년(791) 8월에 섭진국(攝津國) 백제군(百濟郡) 정6위상 광정조진성(廣井造眞成)이 연(連) 성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일본후기』 홍인(弘仁) 2년(811)6월 계해조에 광정숙녜진성(廣井宿禰眞成)으로 나오고 있어 연력 10년(791)에서 홍인 2년(811) 사이에 숙녜의 성을 받았다고 보인다. 광정련씨의 일족으로는 평성궁 출토 목간(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67, 『平城宮木簡』 4)에 광정상석(廣井常石)의 이름이 보인다. 『정창원문서』 천평승보(天平勝寶) 8년(756) 10월부 「쌍창북잡물충용장(雙昌雜物出用帳)」(『大日本古文書』 4-204)에도 광정련도인(廣井連島人)이 나온다. 『일본후기』 홍인 6년(815)정월 기묘조에는 정6위상에서 외종5하로 진급한 광정숙녜진명(廣井宿禰眞名)이 있다. 또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2년(835) 8월 신축조에 보이는 외종5위하에서 종5위하로 승진한 광정숙녜제명(廣井宿禰弟名)이 신조신(信朝臣)의 서(舅)라고 기록되어 있어 그는 원조신신(源朝臣信)의 외삼촌일 가능성이 있다. 원조신신의 외조부는 조(造)에서 연(連) 성이 되고 후에 숙녜(宿禰) 성을 받은 상기 연력 10년 8월조에 나오는 광정숙녜진성이었다고 생각된다. 『신찬성씨록』 좌경 황별(상) 「원조신(源朝臣)」 조(045)에 “원조신신(源朝臣信)의 나이는 6세이다[낳은 여성은 광정씨(廣井氏)이다.]”라고 하듯이 원조신신(源朝臣信)의 어머니는 광정숙녜씨 일족이었다.
2. 피류왕(避流王)
백제 제11대 비류왕(比流王)으로, 재위 기간은 304~344년까지이다. 비류왕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하)의 「춘야련(春野連)」 조(877) 비류왕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광정련(廣井連; 히로이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3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