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진기촌(秦忌寸; 하타노이미키)

진기촌(秦忌寸; 하타노이미키)
 시황제(始皇帝) 15세손 천진공(川秦公)의 후손이다.
 
【주석】
1. 진기촌(秦忌寸)
진기촌의 옛 성은 조(造)이다. 『일본서기』 천무기(天武紀) 12년(683) 9월조에 진조(秦造)가 연(連) 성을 받았고, 동 천무 14년(685) 6월조에는 진련(秦連)이 기촌(忌寸)으로 개성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타[秦]에 대해서는 『신찬성씨록』 좌경 제번(상) 「태진공숙녜」 조(740)에 “진왕이 바친 실, 솜, 명주, 비단을 짐이 입으니 부드럽고 피부에 따듯해서 파다(波多)를 성으로 하사하였다”라고 한다. 하타가 지명이라는 설을 주장하는 점패방지진(鮎貝房之進)에 의하면, 하타를 진민(秦民)이 거주한 지명을 칭하는 것으로 보고 동해안의 울진 지방에 비정한다. 『삼국사기』 잡지4(지리2)에 울진의 영현(領縣)이던 해곡(海曲)의 고명이 파차(波且)라고 하였는데, 『삼국사기』 의 아차성(阿且城)을 광개토왕비문에 아단성(阿旦城)이라고 하였듯이 파차는 파단(波旦)일 가능성이 있다. 울진 봉평리 신라비에도 ‘파단(波旦)’이라는 지명이 보인다. 하타의 어원은 진씨 일족의 원향인 파단에서 나왔고, 삼한 시대 진한의 일국이던 우유국(優由國), 즉 울진으로 추정된다.
산성국의 진기촌 일족으로는, 조(造) 성 이전의 인물로 『일본서기』 흠명(欽明) 즉위전기의 진대진부(秦大津父), 『산성국풍토기』(逸文, 南島部里條)의 진공이여구(秦公伊呂具)가 있고, 조(造) 성 시대의 인물로는 『일본서기』 추고(推古) 11년(603) 11월조의 진조하승(秦造河勝)이 있다. 기촌(忌寸)으로 개성한 인물로는 『산성국풍토기』(逸文, 伊奈利社條)의진중가기촌(秦中家忌寸), 『영락유문(寧樂遺文)』(下-626)의 진기촌동인(秦忌寸東人),『속일본기』 보구(寶龜) 7년(776) 12월조의 진기촌기조(秦忌寸箕造), 동 연력(延曆) 3년(784) 12월조의 지기촌족장(秦忌寸足長)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평안유문(平安遺文)』(1-10)에는 진기촌백마려(秦忌寸白麻呂), 진기촌광족(秦忌寸廣足), 진기촌풍도(秦忌寸豐道), 진기촌영년(秦忌寸永年) 등 다수의 인명이 산견된다.
2. 천진공(川秦公)
『산성주갈야군풍야대언향광륭사유래기(山城州葛野郡楓野大堰鄕廣隆寺由來記)』 에 인용된 〈진씨계도(秦氏系圖)〉에는 하진공(河秦公)으로 되어 있고, ‘진 시황제(秦始皇帝)-호해황제(胡亥皇帝)-효무황제(孝武皇帝)-축구송황제(竺區宋皇帝)-법성왕(法成王)-공만왕(功滿王)-융통왕(融通王)-보통왕(普洞王)-주진공(酒秦公)-의미진공(意美秦公)-인진공(忍秦公)-단조진공(丹照秦公)-하진공(河秦公)-국승진공(國勝秦公)-천승진공(川勝秦公)’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 『정사요략(政事要略)』 권54, 교체잡사(交替雜事)에 인용된 〈진씨본계장(秦氏本系帳)〉 일문에는 “갈야대언(葛野大堰)을 만드는 일을 천하의 누구에 비할 바인가, 이는 진씨가 일족을 이끌고 이룩한 것이다. 옛날 진 소왕(昭王)이 홍수를 방지하기 위해 제방을 축조하고 토지를 개간하여 1만 경을 만들어 진의 부를 수 배 늘렸다. …지금 대정(大井)의 제방은 그에게 배워 만든 것이다”라고 하여 진씨 일족의 갈야대언(葛野大堰) 축조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진기촌(秦忌寸; 하타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