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觀鳥獸, 而別四時.

觀鳥獸, 而別四時.
後漢書曰: “烏桓土地宜穄及東牆. 東牆似蓬草, 實如穄子. 至十月而熟. 見鳥獸孕乳, 以別四時. 卽주 001
각주 001)
원문 「卽」.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卽」을 생략하는 것으로, 길림본 「節」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耕種, 用布穀鳴, 爲候之也주 002
각주 002)
원문 「之也」. 탕천본·길림본 「之也」 생략. 원문대로 두는 것이 문장구조상 합당하므로 생략하지 않음. 한편 卽 이하는 현전하는 『후한서』에서 확인되지 않지만, 주문의 구성상 『한원』 편찬 당시의 『후한서』에는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닫기
.”

  • 각주 001)
    원문 「卽」.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卽」을 생략하는 것으로, 길림본 「節」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之也」. 탕천본·길림본 「之也」 생략. 원문대로 두는 것이 문장구조상 합당하므로 생략하지 않음. 한편 卽 이하는 현전하는 『후한서』에서 확인되지 않지만, 주문의 구성상 『한원』 편찬 당시의 『후한서』에는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觀鳥獸, 而別四時. 자료번호 : hw.m_0002_002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