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候月稱兵 鳥集之機無爽

주 001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候」. 아래의 용례를 통해 「候」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麓山寺碑
닫기
月稱兵 鳥集之機無爽주 002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爽」. 아래의 용례를 통해 「爽」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玉臺新詠
닫기
漢書曰 匈奴擧事常随月 盛社以攻戰 月虧주 003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虧」. 이체자를 참조하여 「虧」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신출자

唐 褚遂良
닫기
則退兵 其攻戰 漸首虜賜一厄주 004
각주 004)
죽내본 「厄」, 길림본 「卮」. 아래의 용례를 통해 「厄」로 판독. 당초본도 「厄」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신출자

『翰苑』의 厄」卮
신출자

唐 五經文字
닫기
酒 而所得鹵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鹵」. 아래의 용례를 통해 「鹵」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顏眞卿
닫기
獲囙以号之 得人以為奴婢 故其戰人〻自為趍利 善為誘兵以包敵주 006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敵」. 원문은 「▼{商+攵}」의 형태이며, 길림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체자를 참조하여 「敵」으로 판독.
닫기
故其遂利如鳥之集 其困敗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敗」. 아래의 용례를 통해 「敗」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則瓦주 008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瓦」. 「凡」으로 볼 여지도 있으나 아래의 용례를 통해 「瓦」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雲居寺石經
신출자

唐 玉臺新詠
닫기
解雲散矣 戰而扶擧死者 盡得死者家則也

  •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候」. 아래의 용례를 통해 「候」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麓山寺碑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爽」. 아래의 용례를 통해 「爽」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玉臺新詠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虧」. 이체자를 참조하여 「虧」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신출자

    唐 褚遂良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 「厄」, 길림본 「卮」. 아래의 용례를 통해 「厄」로 판독. 당초본도 「厄」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신출자

    『翰苑』의 厄」卮
    신출자

    唐 五經文字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鹵」. 아래의 용례를 통해 「鹵」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顏眞卿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敵」. 원문은 「▼{商+攵}」의 형태이며, 길림본도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체자를 참조하여 「敵」으로 판독.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敗」. 아래의 용례를 통해 「敗」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瓦」. 「凡」으로 볼 여지도 있으나 아래의 용례를 통해 「瓦」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雲居寺石經
    신출자

    唐 玉臺新詠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候月稱兵 鳥集之機無爽 자료번호 : hw.d_0002_0010_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