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陵楚山而廓宇 帶桑水䟽彊

陵楚山而廓宇 帶桑水䟽彊주 001
각주 001)
죽내본 「彊」, 길림본 「疆」. 「疆」은 「彊」의 이체자이며, 자형에 따라 「彊」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魏志曰 馬韓在西 散在山海間 無城郭 有爰주 002
각주 002)
죽내본 「奚」, 길림본 「爰」. 아래의 용례를 통해 「爰」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欧阳询 九成宫醴泉铭
닫기
주 003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襄」. 자형에 따라 「襄」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國牟襄水國桑水國小石索國大石索國優休牟淥주 004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淥」. 자형에 따라 「淥」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國臣僕沾國伯濟國速盧不斯國日華國古誕者國古雜國怒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怒」. 자형에 따라 「怒」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藍國目주 006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自」. 아래의 용례를 통해 「目」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晩唐 摩訶止觀
닫기
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支」. 아래의 용례를 통해 「支」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宋 米芾
닫기
國資離牟盧國素謂乾國古愛주 008
각주 008)
죽내본 「受」, 길림본 「愛」. 아래의 용례를 통해 「愛」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 董美人墓志
닫기
國英주 009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莫」. 아래의 용례를 통해 「英」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張猛龍碑
닫기
盧卑離國古卑離田臣疊國支侵支狗盧國卑弥國監奚卑離古滿致주 010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致」. 아래의 용례를 통해 「致」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钟绍京 灵飞经
닫기
利鞠주 011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鞠」. 자형에 따라 「鞠」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國兒주 012
각주 012)
죽내본 「兒」, 길림본 「兇」. 자형에 따라 「兒」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林國駟盧國內卑離感奚國邁盧國群卑離國田斯烏且國一離國不弥國挺주 013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挺」. 아래의 용례를 통해 「挺」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元怀墓志
닫기
盧國牟盧離國臣蘇주 014
각주 014)
죽내본 「蘇」, 길림본 「蘓」. 아래의 용례를 통해 「蘇」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敦煌俗字譜 艸部
닫기
塗國莫盧國古櫛주 015
각주 015)
죽내본 「櫛」, 길림본 「擳」. 아래의 용례를 통해 「櫛」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欧阳询 九成宫醴泉铭
닫기
國臨素半國臣雲新國如來卑離國楚山塗卑離一國難國狗奚國不雲國不斯濆邪奚他馬國楚離國 凡五十餘國 大國万餘家 小馬주 016
각주 016)
죽내본 「馬」, 길림본 「國」. 자형에 따라 「馬」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數千家 又島上有州朝國也

  • 각주 001)
    죽내본 「彊」, 길림본 「疆」. 「疆」은 「彊」의 이체자이며, 자형에 따라 「彊」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 「奚」, 길림본 「爰」. 아래의 용례를 통해 「爰」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欧阳询 九成宫醴泉铭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襄」. 자형에 따라 「襄」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淥」. 자형에 따라 「淥」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怒」. 자형에 따라 「怒」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自」. 아래의 용례를 통해 「目」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晩唐 摩訶止觀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支」. 아래의 용례를 통해 「支」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宋 米芾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 「受」, 길림본 「愛」. 아래의 용례를 통해 「愛」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 董美人墓志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莫」. 아래의 용례를 통해 「英」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張猛龍碑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致」. 아래의 용례를 통해 「致」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钟绍京 灵飞经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鞠」. 자형에 따라 「鞠」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 「兒」, 길림본 「兇」. 자형에 따라 「兒」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挺」. 아래의 용례를 통해 「挺」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元怀墓志
     바로가기
  • 각주 014)
    죽내본 「蘇」, 길림본 「蘓」. 아래의 용례를 통해 「蘇」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敦煌俗字譜 艸部
     바로가기
  • 각주 015)
    죽내본 「櫛」, 길림본 「擳」. 아래의 용례를 통해 「櫛」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欧阳询 九成宫醴泉铭
     바로가기
  • 각주 016)
    죽내본 「馬」, 길림본 「國」. 자형에 따라 「馬」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陵楚山而廓宇 帶桑水䟽彊 자료번호 : hw.d_0002_008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