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二部分駈, 耿譚馳聲於鹿塞

二部分駈주 001
각주 001)
원문 「駈」.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驅」로 교감. 두 글자는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 耿譚馳聲於鹿주 002
각주 002)
원문 「塵」.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鹿」으로 판독하여 교감하지 않음. 길림본 「鹿」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鹿」으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리로 교감.
닫기
范曄後漢書曰: “南單于주 003
각주 003)
원문 「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于」로 교감. 선우를 가리키는 부분이므로 「于」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리로 교감.
닫기
, 復上求滅北庭. 於是遣左谷蠡王주 004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 「師子」를 보입. 길림본은 『후한서』를 참조하여 보입한 듯하나 보입하지 않아도 원문해석에 큰 무리가 없으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等, 將左주 005
각주 005)
원문 「右」. 탕천본 「左」로 판독, 죽내본·길림본 「左」로 교감. 좌우로 구분하는 흉노의 습속과 『후한서』를 참조해 「左」로 교감.
닫기
右部八千騎, 出雞주 006
각주 006)
원문 「難」. 죽내본·탕천본 「雞」, 길림본 「鷄」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雞」로 교감.
닫기
鹿塞. 中郎將耿譚, 遣從주 007
각주 007)
원문 「從」.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從」으로 교감했다 표기가 있음. 길림본 「從」으로 교감.
닫기
事將護之. 至涿耶山, 乃留輜重, 分爲二部, 各주 008
각주 008)
원문 「后」.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各」으로 교감. 문맥상 「各」으로 교감.
닫기
引輕兵, 兩주 009
각주 009)
원문 「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兩」으로 교감. 문맥상 「兩」으로 교감.
닫기
道襲之. 左部北過西海, 至河雲北, 右部從匈[奴]주 010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奴」를 보입. 『후한서』를 참조해 「奴」를 보입.
닫기
河水西, 繞天山, 南渡甘微주 011
각주 011)
원문 「徵」.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微」로 교감. 고유명사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微」로 교감.
닫기
河, 二軍俱會, 夜圍北單于. 單于大驚, 率精兵千餘人合戰, 單于被創墮馬. 復上將輕騎數十遁走, 僅而免脫주 012
각주 012)
원문 「睌」.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脫」로 교감. 문맥상 「脫」로 교감.
닫기
. 得其玉璽, 獲閼氏及男女五人. 耿譚以新降者多, 上增從주 013
각주 013)
원문 「從」. 길림본 「從」으로 교감.
닫기
事十二人也.”

  • 각주 001)
    원문 「駈」.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驅」로 교감. 두 글자는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塵」.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鹿」으로 판독하여 교감하지 않음. 길림본 「鹿」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鹿」으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리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于」로 교감. 선우를 가리키는 부분이므로 「于」로 교감.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리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 「師子」를 보입. 길림본은 『후한서』를 참조하여 보입한 듯하나 보입하지 않아도 원문해석에 큰 무리가 없으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右」. 탕천본 「左」로 판독, 죽내본·길림본 「左」로 교감. 좌우로 구분하는 흉노의 습속과 『후한서』를 참조해 「左」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難」. 죽내본·탕천본 「雞」, 길림본 「鷄」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雞」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從」.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從」으로 교감했다 표기가 있음. 길림본 「從」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后」.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各」으로 교감. 문맥상 「各」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兩」으로 교감. 문맥상 「兩」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奴」를 보입. 『후한서』를 참조해 「奴」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徵」.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微」로 교감. 고유명사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微」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睌」.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脫」로 교감. 문맥상 「脫」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從」. 길림본 「從」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二部分駈, 耿譚馳聲於鹿塞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