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김해 부원동 유적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1980
  • 시대
    원삼국
  • 위치
  • 원소장처
    경상남도 김해시 부원 2동
  • 시대
    상고사
  • 유형
    복합
입지
1980년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A ·B ·C의 3개 지점으로 나누어 조사.
유적개관
남산 서쪽 기슭의 패총지역(A지구), 동쪽 삼정동과 경계하고 있는 패총지역(B지구), 그리고 동쪽의 무문토기 산포지역(C지구)으로 구분됨. A지구와 C지구에서 수혈주거지와 반수혈주거지 고상가옥지가 확인이 되었으며 분묘 유구로는 석관묘와 토광묘가 확인되었음.
출토유물
* 회청색 호형토기, 적갈색 발형토기, 철기, 골각기, 연석, 반달돌칼, 도끼, 탄화곡물, 방추차, 그물추, 토옥 등
참고문헌
「김해부원동유적(金海府院洞遺蹟)」
해설
경상남도 김해시 부원 2동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조개무지[패총(貝塚)]와 주거지 유적이다. 김해 봉황동 조개무지의 동쪽 약 1㎞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50m의 야산 서쪽과 동쪽 기슭 경사면에 주거지와 유물퇴적층이 있다.
1980년 동아대학교박물관에 의해 4월부터 약 4개월 동안 발굴조사 되었다. 유적은 남산 서쪽의 조개무지지역(A지구), 동쪽 삼정동 경계의 조개무지지역(B지구), 그리고 동쪽의 민무늬토기[무문토기(無文土器)]가 흩어져있는 지역(C지구)으로 구분된다.
조사 결과 A지구에서는 주거지 3기와 돌널무덤[석곽묘(石棺墓)] 1기, 널무덤[토광묘(土壙墓)] 1기가 발견되었다. 특히 1호 주거지에서 덧띠[점토대(粘土帶)] 입술부를 가진 적갈색 바리모양토기[발형토기(鉢形土器)]가 출토되어 주거지의 연대를 알 수 있다.
조개껍데기층에서 출토된 유물은 토기가 가장 많으며 종류가 다양한데, 단단한[경질(硬質)]토기가 다수이다. 일부 경주지방의 신라토기도 출토되었으며 일본 구주(九州)지방의 야요이토기[미생토기(彌弥生土器)]와 닮은 형태도 있다. 그밖에 수렵·어로용 철기와 석기, 활촉, 바늘, 장식품, 점뼈[복골(卜骨)] 등 뼈도구[골각기(骨角器)]도 발견되었는데, 점뼈는 당시의 풍습을 알 수 있는 희귀한 자료이다. 불탄 곡물은 쌀·보리·밀·조가 출토되었고, 이와 더불어 복숭아씨도 출토되었다.
A지구 문화양상의 특징은 쌀·보리·밀 등을 주로 하는 농경생활을 하면서 인접한 해안가에서 조개를 채집하여 먹고, 움집 또는 반움집 가옥에서 생활하면서 낙랑·일본 등 다른 지역과의 문화교류가 빈번하였으리라 생각되며, 그 시기는 철기시대 후기인 3-4세기경으로 추정된다.
B지구는 남산 동쪽 기슭의 약간 고지에 위치하였다. 퇴적층은 조개껍데기층 위에 논밭과 일반무덤이 들어서면서 대부분 교란되어 바닥층의 일부만 남아 있었다. 유물은 토기, 뼈도구, 석기, 불에 탄 쌀 외에 가락바퀴[방추차(紡錘車)], 그물추[어망추(魚網錘)], 흙구슬[토옥(土玉)] 등 다양하게 수습되었다.
C지구는 B지구에 인접한 경작지인데, 약 1.5m의 깊이에서 원형의 움집터 3기와 물도랑[구상유구(溝狀遺構)]이 발견되었고, 제2호 주거지 내에서 점뼈가 출토되었다. 유물은 토기, 철기, 뼈도구, 석기, 불탄 곡물 등이 발견되었는데, 특징은 B지구 출토품과 같다. 따라서 C지구의 주민 역시 B지구와 마찬가지로 1-2세기경에 이곳에 정착한 농경민이었다고 추정된다.
부원동 유적은 김해의 충적평야가 바라보이는 언덕기슭의 조개무지 및 집터 유적으로, 가락국 성립 초부터 시작하여 그 중흥기의 이른 시기에 살았던 사람들이 형성한 생활유적이다. 특히 A지구는 김해식토기에서 신라·가야토기로의 과도기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어 중요하며, 이 과도기적 시기를 ‘부원동시기[부원동기(府院洞期)]’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김해 부원동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03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