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널방_서벽_상세_묘주부부출행도(상단)_묘주부인

  • 저필자
    김진순(부산국제여객터미널 문화재감정관)
수산리 벽화고분 널방 서벽 상단의 출행도에 그려진 인물들 가운데 묘주 부인의 상세도이다. 묘주부인은 볼과 이마에 붉은 연지를 찍고 우아하게 틀어 올린 올림머리를 한 채 가벼운 마음으로 나들이에 나서고 있다. 묘주부인 뒤에는 시녀가 양손으로 묘주부인을 위해 산개(傘蓋 : 고대에 귀족들이 나들이 할 때 태양을 가리기 위한 도구로, 오늘날의 양산과 같은 것임)를 받쳐 들고 있다. 두 사람의 모습이 마치 거인국과 소인국 사람을 보는 듯하여 재미있다. 이러한 차이는 신분에 따라 사람의 크기에 차별을 두고 표현한 고대인들의 창의적인 인물묘사법에 기인한 것이다.
먼저 묘주부인의 복식을 살펴보면, 흑색의 저고리에는 목깃과 앞섶, 소매부리, 도련에 붉은 실로 화려하게 수놓인 비단 천을 활용하여 널찍하게 선을 대고, 다시 목깃과 소매부리에 붉은 색의 선을 대어 극도의 화려함을 추구하였다. 평민이나 시종들의 저고리가 민무늬 천으로 된 한 겹의 선만으로 이루어진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치마도 주름 폭이 매우 넓으며, 게다가 오색의 천을 사용한 색동주름치마이다. 북벽의 묘주부부초상 장면에서 훼손된 벽화 사이로 묘주부인의 화려한 색동치마자락이 얼핏 보였는데, 그 귀부인이 바로 이 여인이었음을 알아챌 수 있다. 묘주부인이 입은 이러한 고급스런 의복은 고구려 상류층 귀부인들만이 착용할 수 있던 것으로 묘주부부가 생전에 누렸던 부귀와 영화를 그대로 반영해주고 있다.
저고리 착의법은 옷섶을 오른쪽으로 여며 입는 우임(右袵 : 왼쪽 옷섶을 오른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 방식이다. 고구려의 전통적인 착의법은 좌임(左袵 : 오른쪽 옷섶을 왼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이었으나 한족의 우임방식이 고구려로 전래됨에 따라 좌임과 함께 우임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산개를 들고 있는 시녀는 머리카락을 뒤로 쓸어내린 두발의 형태로 볼 때 시집을 가지 않은 어린 처자이다. 고구려의 여인들은 기혼인 경우 일반적으로 올림머리를 하거나, 정수리 부분에 상투처럼 모아 묶었다. 의복으로는 저고리와 폭이 좁은 주름치마를 입었는데 저고리는 엉덩이를 덮는 길이로 중간에 띠를 묶어 편리성을 도모했다. 시녀가 입은 저고리에도 목깃과 소매부리, 도련에 선이 대어 있어, 신분이나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고구려인들의 저고리에는 선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녀가 들고 있는 박쥐모양의 산개는 태양을 가리는 위한 것으로, 신분이 높은 사람들만 사용하였다. 산개의 손잡이는 직선이 아닌 곡선형의 꺾인 형태인데 이는 산개를 든 사람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효율적으로 해를 가릴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고대인들의 생활 속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부인의 손은 앞의 두 남자와는 다르게 가슴 앞에 가지런히 모아 잡은 공수(拱手) 형태로, 통이 넓은 소매 자락 밖으로 두 손을 살포시 포개고 있다. 인물의 적절한 비례, 화려한 치장, 유려한 옷 주름 선, 창의적인 표현방식 등에서 고구려 화공의 높은 수준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이 귀부인상은 고구려 귀족부인의 화려하면서도 우아한 차림새를 엿볼 수 있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회화자료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널방_서벽_상세_묘주부부출행도(상단)_묘주부인 자료번호 : kk.d_0004_0040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