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요양 하맥와 유적

遼陽 下麥窩 遺蹟
  • 저필자
    이후석(숭실대학교)
  • 날짜
    1961
  • 시대
    초기철기시대
  • 위치
  • 원소장처
    요령성 요양시 요양현 소둔진 하맥와촌
  • 시대
    상고사
  • 유형
    기타
유적개관
* 유적은 요녕성(遼寧省) 요양시(遼陽市) 태자하구(太子河区) 하맥와촌(下麥窩村)에 위치함.
* 태자하 하안 앞에 있음.
* 1961년 9월, 요양성 동하맥와촌 태자하 강 해안에서 대량의 화폐가 발견됨.
* 1961년 소식을 듣고 먼저 조사를 진행함.
* 약 50kg의 팔천여 개의 전국 화폐와 소량의 토기편이 출토됨.
* 이 유적은 초기철기시대 유적임.
유물개관
* 전국 화폐 8,000여개, 토기편 등이 발견되었음.
출토유물
* 전국시대의 포전(布錢) 4천여 점 가운데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다양한 문자가 주출되어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이 양평포(襄平布)인데, 상단과 어깨가 편평하고, 다리가 방형으로 각져 있는 점이 특징이다. 연나라에 의해 요양 일대에서 주조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은 안양포(安陽布), 평양포(平陽布), 도양포(陶陽布) 등이다. 길이 4.0~4.6㎝, 너비 2.4㎝~2.8㎝, 무게 6~7g/ * 전국 말기 연나라의 동전으로 일화전(一化錢) 또는 일도전(一刀錢)이라 한다. 모두 4백여 점이다. 이 가운데 양호한 한 점은 방공원형으로 윤곽이 뚜렷하다. 방공 좌우에는 ‘일도(一刀)’라는 글자가 주출되어 있다. 지름 2.0㎝
참고문헌
鄒寶庫, 「遼陽出土的戰國刀幣」, 『文物』 第4期, 1980,
해설
유적은 서류하는 태자하(太子河)에 북류하는 탕하(湯河)가 합수되는 지점 북안에 형성된 하맥와촌 충적대지에 위치한다. 원래는 하중도(河中島)에 해당되는 지형으로 1961년 강가 대지에서 토사 채취 과정에서 전국시대의 동전 수천매가 한꺼번에 발견되어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후 요양시 박물관에 의해 조사되었다.
현장조사에서 꼬은무늬[승문(繩文)] 대형토기편을 수습하였는데, 동전을 매납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미 출토된 동전과 함께 출토지점 부근에서 수습된 동전 수백매를 회수하였다. 이에 따라 유구는 다량의 동전을 토기에 매납한 매납유구로 볼 수 있다.
전국시대의 동전은 포전(布錢) 4천여매와 일화전(一化錢) 4백여매인데, 문자가 주출된 것도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이 양평포(襄平布)인데, 양평은 현재의 요양시를 가리키는 전국시대 때의 지명이다. 양평포는 전국 후기 연나라의 동전으로 요동군(遼東郡)에 의해 요양 일대에서 주조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외에도 안양포(安陽布), 평양포(平陽布), 도양포(陶陽布) 등이 확인되었는데, 중원 방면에서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화전(一化錢)은 전국 말기 연나라의 동전인데, “일도(一刀)”라는 글자가 주출되어 있어 일도전(一刀錢)이라고도 한다.
전국 후기 또는 기원전 3세기대 요동군 내에서 화폐가 주조되었으며, 활발하게 유통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사기』 흉노열전 등에 나와 있는 ‘양평’이란 지명이 현재의 요양시 일대임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중요하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요양 하맥와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10_0080_005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