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동이전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 및 풍속

東夷高麗國, 西與魏虜接界. 宋末, 高麗王樂浪公高璉爲使持節·散騎常侍·都督營平二州諸軍事·車騎大將軍·開府儀同三司. 太祖建元元年, 進號驃騎大將軍. 三年, 遣使貢獻. 乘舶汎海, 使驛常通, 亦使魏虜. 然彊盛不受制. 虜置諸國使邸, 齊使第一, 高麗次之.
永明七年, 平南參軍顔幼明宂從僕射劉思斆使虜. 虜元會, 與高麗使相次, 幼明謂僞主客郞裴叔令曰: 「我等銜命주 001
교감주 001)
「命」 :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命」, 백납본 「銜」.
닫기
上華, 來造卿國. 所爲抗敵, 在乎一魏, 自餘外夷, 理不得望我鑣塵. 況東夷小貊, 臣屬朝廷, 今日乃敢與我躡踵.」 思斆謂僞南部尙書李思沖曰: 「我聖朝處魏使, 未嘗與小國列, 卿亦應知.」 思沖曰: 「實如此. 但主副不得升殿耳. 此間坐起甚高, 足以相報.」 思斆曰: 「李道固昔使, 正以衣冠致隔耳. 魏國必纓冕而至, 豈容見黜.」 幼明又謂虜主曰: 「二國相亞, 唯齊與魏. 邊境小狄, 敢躡臣蹤.」
高麗俗服窮袴. 冠析주 002
교감주 002)
「析」 :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析」, 중화서국·국사편찬위원회 「折」.
닫기
風一梁, 謂之幘. 知讀五經. 使人在京師, 中書郎王融戱之曰, 服之不衷, 身之災也. 頭上定是何物. 答曰: 「此卽古弁之遺像也.」
高璉年百餘歲卒. 隆昌元年, 以高麗王樂浪公高雲爲使持節·散騎常侍·都督營平二州諸軍事·征東大將軍·高麗王·樂浪公. 建武三年,주 003
교감주 003)
‘建武三年’ 이하의 기사는 결실되었다. 다만 남감본·무영전본에서는 독자의 이해를 위해 ‘次下闕文’, 급고각본·백납본에서는 ‘原闕’이라고 부기하였다.
닫기

  • 교감주 001)
    「命」 :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命」, 백납본 「銜」.바로가기
  • 교감주 002)
    「析」 : 남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백납본 「析」, 중화서국·국사편찬위원회 「折」.바로가기
  • 교감주 003)
    ‘建武三年’ 이하의 기사는 결실되었다. 다만 남감본·무영전본에서는 독자의 이해를 위해 ‘次下闕文’, 급고각본·백납본에서는 ‘原闕’이라고 부기하였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高璉, 太祖, 劉思斆, 幼明, 裴叔令, 思斆, 思沖, 思沖, 思斆, 幼明, 王融, 高璉, 高雲
지명
高麗國, 高麗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구려와 중국의 관계 및 풍속 자료번호 : jd.d_0007_0058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