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후부약사주(後部藥使主; 고호우노쿠스시노오미)

후부약사주(後部藥使主; 고호우노쿠스시노오미)
 고려국(高麗國) 사람 대형억덕(大兄憶德)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후부약사주(後部藥使主)
후부(後部)는 고구려 5부의 하나이며, 『후한서』 고구려전에 절노부(絶奴部)에 해당하고 북부(北部)라고도 한다. 『한원(翰苑)』 고려전(高麗傳) 「부귀오종(部貴五宗)」 에는 흑부(黑部)도 후부와 같은 부로 나온다. 『일본서기』 천무(天武) 5년(676) 11월조에 일본에 온 고구려 사인으로 후부주부아우(後部主簿阿于)라는 후부를 관칭한 인명이 보인다. 약사주(藥使主)의 약(藥)은 제약과 관련된 직무에서 유래한다. 후부약사주 일족의 인명은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2. 대형억덕(大兄憶德)
대형은 고구려의 관위, 『주서』 고려전에 “대관(大官)에는 대대로(大對盧), 다음이 태대형(太大兄), 다음이 대형(大兄)…, 무릇 13등이 있다”라고 하듯이 제3위에 해당한다. 『수서』 고려전에도 “관(官)에는 대대형(大大兄), 다음은 대형(大兄) 다음은 소형(小兄) ……, 무릇 12등이 있다”라고 하여 12관등의 제2위에 해당한다. 『신당서』 고려전에는 12관위 중 제6위, 『한원』 고려조에 인용된 「고려기」 에는 9등관제 중에서 제7위인 대형가(大兄加, 大兄)로 되어 있다.
『일본서기』 에 보이는 고구려의 인명 중에 천지(天智) 6년(668) 10월조의 고려대형남생(高麗大兄男生), 동 천무(天武) 2년(673) 8월조의 상부위두대형감자(上部位頭大兄邯子)와 전부대형석간(前部大兄碩干), 천무 4년 3월조의 대형부간(大兄富干)과 대형다무(大兄多武), 천무 5년 11월조에 전부대형덕부(前部大兄德富), 천무 9년 5월조의 서부대형준덕(西部大兄俊德) 등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후부약사주(後部藥使主; 고호우노쿠스시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