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姓氏錄)』 에이르기를 구자직(駒子直; 고마코노아타히)의 첫째 아들...]

『성씨록(姓氏錄)』 에이르기를 구자직(駒子直; 고마코노아타히)의 첫째 아들 갑유(甲由; 가유)는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의 판상직(坂上直; 사카노우헤노아타히) 등의 조상이다. 갑유의 후손인 증대금하(贈大錦下) 판상웅모(坂上熊毛; 사카노우헤노쿠마케) 등은 천정중원영진인천황(天渟中原瀛眞人天皇; 아마노누나하라오키노마히토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천무(天武; 덴무)이다.] 10년에 직(直)을 고쳐 연(連)이라는 성을 주었다고 하였다.
 
【주석】
1. 성씨록왈(姓氏錄曰)
이 일문은 〈판상계도(坂上系圖)〉 갑유직(甲由直)조에 인용된 것으로, 우경 제번(상)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조(812)의 일문이다. 현재 초략본의 해당 조에서는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아들 연왕(延王)에서 나왔다고 하였다.
2. 구자직(駒子直)
〈판상계도(坂上系圖)〉에서는 지노직(志努直)의 아들이자 아소나직(阿素奈直)의 아우로 구자직(駒子直)을 들고, 그 말미에 지노직의 여섯 번째 아들이라고 하였다. 〈단파씨계도(丹波氏系圖)〉에서는 지나직(志拏直)의 아들로 구자(駒子)를 들고, 동인(東人)과 궁속(弓束)의 아버지라고 하였다. 이 구자직은 소아마자(蘇我馬子)의 지시로 숭준천황(崇峻天皇)을 죽인 동한직구(東漢直駒)일 가능성이 있다(『일본서기』 崇峻 5년 11월 을사조).
후대의 사료지만 보연(保延) 5년(1139)의 「대화국죽림사별당양장안(大和國竹林寺別當讓狀案)」 에서는 죽림사에 대하여 숭준천황 4년(591)에 판상대직구자(坂上大直駒子)가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에 건립한 것이며 오원사(吳原寺)라고도 한다고 하였다(『平安遺文』 5-203).
3. 갑유(甲由)
〈판상계도(坂上系圖)〉에서는 구자직(駒子直)의 아들로 갑유직(甲由直)을 들고, 그 말미에 본조의 일문을 기록하였다.
4. 대화국고시군판상직(大和國高市郡坂上直)
대화국 고시군과 판상직의 관계에 대해서는, [357-일문10]에서 아지왕(阿智王)이 금래군(今來郡)을 세워 줄 것을 상주하였고 후에 고시군이라고 이름을 고쳤다는 내용이 보인다. 『속일본기』 에서도 고시군 회전촌은 아지사주(阿智使主)가 그 무리들을 이끌고 살기 시작한 곳이며 회전기촌 등 일족들이 사는데 다른 성은 열에 한둘이라고 하였다(『속일본기』 寶龜 3년 4월 경오조).
판상직(坂上直)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조(812)의 판상대숙녜 참조.
5. 판상웅모(坂上熊毛)
판상웅모는 임신의 난 때 공을 세운 인물이다. 당시 유수사(留守司)였던 그는 대반련취부(大伴連吹負)와 함께 대해인황자(大海人皇子, 후의 天武) 측에 가담하여 활약하였다(『일본서기』 天武 원년 6월 기축조). 보귀(寶龜) 2년(771)에는 그의 아들 종대(宗大)에게 공전(功田)을 내렸다(『속일본기』 靈龜 2년 4월 계축조). 천평보자(天平寶字) 원년(757)에 이르러 웅모의 공로를 중공(中功)으로 간주하고 공전을 2대까지 세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속일본기』 天平寶字 원년 12월 임자조). 〈판상계도(坂上系圖)〉에 따르면, 웅모는 갑유의 아들이 아니라 갑유의 아우인 궁속(弓束)의 손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갑유와의 관계를 분명하게 밝히지 않고 ‘후(後)’로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6. 천정중원영진인천황십년(天渟中原瀛眞人天皇十年)
왜한직(倭漢直) 등이 연(連) 성을 갖게 된 것은 천무(天武) 11년(682)이지만, 천무 10년에도 금직조(錦織造), 전정직(田井直), 차전창인(次田倉人), 천내직(川內直), 인해조(忍海造), 대백조(大柏造), 왜직(倭直), 문부직(門部直), 육인조(六人造) 등에게 연(連) 성을 내렸으므로(『일본서기』 天武 10년 4월 경술조), 웅모 등도 이해에 연 성을 갖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姓氏錄)』 에이르기를 구자직(駒子直; 고마코노아타히)의 첫째 아들...] 자료번호 : ss.k_0003_003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