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 을 살펴보니...]

『성씨록』 을 살펴보니, 대족언인대별천황(大足彦人代別天皇; 오타라시히코오시로와케노스메라미코토)의 황자 도배입언명(稻背入彦命; 이나세이리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손자 아량도별명(阿良都別命; 아라츠와케노미코토)의 아들 풍도(豐島; 도요시마)가 천만풍일천황(天萬豐日天皇; 아메요로즈토요히노스메라미코토)의 시대에 좌백직(佐伯直)이라는 성을 받았다.
 
【주석】
1. 안성씨록운(案姓氏錄云)
이 일문은 『일본고승전요문초(日本高僧傳要文抄)』제1권의 홍법대사전(弘法大師傳)에 보인다. 『신찬성씨록』 하내국 황별 「좌백직(佐伯直)」 조(299)의 일문이다. 현재의 발췌본에는 “대족언인대별천황의 황자 도배입언명의 후손이다. 『일본기』 에 보이지 않는다(大足彦忍代別天皇皇子稻背入彦命之後也. 日本紀不見.)”라는 내용만 보인다.
2. 대족언인대별천황(大足彦忍代別天皇)
경행천황(景行天皇)을 말한다. 이 천황에 대해서는 『고사기(古事記)』 수인천황단(垂仁天皇段)에 단파비고다다수미지우사왕(旦波比古多多須美知宇斯王)의 딸인 빙우주비매명(氷羽州比賣命)이 대대일자어사려화기명(大帶日子淤斯呂和氣命)을 낳았다고 하였으며, 경행천황 단에서는 전향지일대궁(纏向之日代宮)에서 137년 동안 천하를 다스렸으며, 능은 산변(山邊)의 도상(道上)에 있다고 하였다. 『일본서기』 수인천황 15년 8월 임오삭조에 “황후 일엽초원명(日葉酢媛命)이 3남 2녀를 낳았는데, 차자가 대족언존(大足彦尊)”이라고 하였고, 경행천황 즉위전기(卽位前紀)에는 대족언인대별천황(大足彦忍代別天皇)은 활목입언오십협모천황(活目入彦五十狹茅天皇)의 셋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황후 일엽주원명(日葉洲媛命)이며 단파도주왕(丹波道主王)의 딸이라고 하였다.
3. 도배입언명(稻背入彦命)
도배입언명에 대해서는 우경 황별(하) 「좌백직(佐伯直)」 조(168)의 도배입언명 참조.
4. 아량도별명(阿良都別命)
아량도명(阿良都命)·이허자별명(伊許自別命)과 같다. 우경 황별(하) 「좌백직(佐伯直)」 조의 아량도명 참조. 예전천황(譽田天皇, 應神)이 나라의 경계를 정하려고 거가(車駕)로 순행하였는데, 침간국(針間國) 신기군(神崎郡) 와촌(瓦村)의 동쪽 언덕에 이르렀다. 이때 푸른 채소 잎이 강변천(崗邊川)으로부터 흘러 내려왔다. 천황이 강 위쪽에 사람이 있을 것이라며 이허자별명에게 가서 물어보게 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5. 풍도(豐島)
풍도라는 인명 앞에 있는 남(男)은 아량도별명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보이지만 두 사람을 부자관계로 보기 어렵다. 야량도별명은 「좌백직」 조에서 응신천황 대의 인물로 전하고 있다. 또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국조본기(國造本紀) 침간국조(針間國造)조에서는, 지하고혈수조(志賀高穴穗朝, 成務) 때 도배입언명(稻背入彦命)의 손자 이허자별명(伊許自別命)을 국조(國造)로 정했다고 하여 성무천황 대의 인물로 나타난다. 성무와 응신 사이는 전승 상의 기년에 따르면 100년 이상 차이가 난다. 아량도별명을 응신천황 대의 인물로 보더라도 풍도는 효덕천황(孝德天皇) 대에좌백직(佐伯直)이라는 씨성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아량도별명의 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하다. 아마 완본에는 아량도별명에서 풍도에 이르는 계보가 기록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풍도라는 인명은 여기에만 보인다.
6. 천만풍일천황어세(天萬豐日天皇御世)
풍도(豐島)가 효덕천황(孝德天皇) 대에 좌백직(佐伯直)이라는 씨성을 받았다는 내용은 여기에만 보인다. 효덕천황 대의 사성(賜姓)은 『일본서기』 백치(白雉) 5년(654) 7월조에 “서해사 등이 당나라 천자를 만나 문서와 보물을 많이 얻은 것을 포상하여 소산상 대사 길사장단에게 소화하를 내리고, 봉호 200호를 내리고 오씨라는 성을 주었다(褒美西海使等, 奉對唐國天子, 多得文書寶物, 授小山上大使吉士長丹, 以小花下, 賜封二百戶, 賜姓爲吳氏.)”라는 내용이 보일 뿐이다. 그러나 『신찬성씨록』 우경(右京) 황별(상) 「수수공(垂水公)」 조에서 “6세손 아리진공이 시호 효덕천황의 시대에 나라 안에 가뭄이 들어 강과 우물이 모두 말랐다. 이때 아리진공이 높은 통을 만들어 수수강기의 물을 궁 안으로 통하게 하고 천황의 음식을 바쳤다. 천황이 그 공을 칭찬하여 수수공이라는 성을 내리고 수수신사를 관장토록 하였다(六世孫阿利眞公, 諡孝德天皇御世, 天下旱魃, 河井涸絶. 于時阿利眞公, 造作高桶, 以垂水岡基之水, 令通宮內, 供奉御膳. 天皇美其功, 使賜垂水公姓, 掌垂水神社也.)”라는 내용이 보이고, 좌경(左京) 제번(하) 「화약사주(和藥使主)」 조에 “아들인 선나사주가 천만풍일천황[시호는 효덕이다.] 때 우유를 바친 일로 인하여 화약사주라는 성을 내렸다(男善那使主, 天萬豐日天皇[諡孝德.]御世, 依獻牛乳, 賜姓和藥使主.)”라는 내용이 보인다.
7. 좌백직(佐伯直)
좌백직씨 일족의 인명에 대해서는 우경 황별(하) 「좌백직」 조(168)의 좌백직 및 하내국(河內國) 황별(皇別) 「좌백직」 조(299)의 좌백직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 을 살펴보니...] 자료번호 : ss.k_0003_003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