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서역의 풍습 및 흉노와의 관계를 설명

  • 국가
    서역(西域)
서역의 여러 나라는 대부분 정착생활[土著]주 001
각주 001)
土著 : 顔注 : “토지에 정착하여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것을 말하며, 가축을 따라 이동생활을 하는 것이 아니다.”
닫기
을 하며, 성곽과 밭과 가축을 갖고 있다. 흉노·오손과는 풍속이 다르며 전에는주 002
각주 002)
故 : “그렇기 때문에”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서역의 여러 나라들은 흉노․오손과 같은 유목민들이 아니기 때문에 전쟁에 능하지 못하고, “그렇기 때문에” 복속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닫기
모두 흉노에 복속하였다.주 003
각주 003)
役屬 : 顔注 : “흉노에 복속하면서 그들이 부리는대로 일을 한다.”
닫기
흉노의 서쪽 변경에 있는 일축왕(日逐王)주 004
각주 004)
日逐王 : 『漢書』 「匈奴列傳上」에 따르면 “狐鹿姑單于(전96~전85)가 즉위하자, 左大將을 左賢王으로 삼았는데 몇 년 뒤 病死하고 그 아들 先賢撣이 뒤를 잇지 못하자, 대신 日逐王으로 삼았다. 日逐王은 左賢王보다 지위가 낮았다. 선우는 자신의 아들을 左賢王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보인다.
닫기
은 동복도위(僮僕都尉)주 005
각주 005)
僮僕都尉 : 日逐王 휘하에 두어진 職名. ‘童僕’은 ‘奴隷’의 의미인데, 서역의 여러 나라를 마치 노예를 부리듯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닫기
를 두어 서역을 통령토록 했는데, 항상 언기(焉耆) 주 006
각주 006)
뒤에 焉耆國條 참조.
닫기
·위수(危須) 주 007
각주 007)
危須(ngwie-siu) : 뒤에 危須國에 관한 주석 참조.
닫기
·위려(尉黎) 주 008
각주 008)
尉黎(jwei-liei) : 尉犂라고도 표기. 뒤의 尉犂에 대한 주석 참조.
닫기
사이의 지역에 거주했으며, 여러 나라에 부세(賦稅)를 부과하고, 재화을 취하여 물자를 확보하였다.주 009
각주 009)
顔注 : “給은 足의 뜻이다.”
닫기
주나라가 쇠망한 뒤 융적(戎狄)이 경수(涇水)위수(渭水)의 북쪽주 010
각주 010)
즉 현재 陝西省 中部.
닫기
에 서로 섞여주 011
각주 011)
顔注 : “錯은 雜의 뜻이다.”
닫기
살았다. 진시황이 융적을 물리치고 장성(長城)을 쌓아 중국의 경계로 삼았지만,주 012
각주 012)
‘界中國’ : 顔注 : “中國의 경계로 삼다는 뜻이다.”
닫기
서쪽으로 임도(臨洮) 주 013
각주 013)
臨洮 : 隴西郡에 속한 縣名이며 현재 감숙성 岷縣에 해당. 반면 현재 臨洮는 당시의 臨洮가 아니라 狄道에 해당되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
닫기
를 넘지는 않았다.

  • 각주 001)
    土著 : 顔注 : “토지에 정착하여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것을 말하며, 가축을 따라 이동생활을 하는 것이 아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故 : “그렇기 때문에”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서역의 여러 나라들은 흉노․오손과 같은 유목민들이 아니기 때문에 전쟁에 능하지 못하고, “그렇기 때문에” 복속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役屬 : 顔注 : “흉노에 복속하면서 그들이 부리는대로 일을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日逐王 : 『漢書』 「匈奴列傳上」에 따르면 “狐鹿姑單于(전96~전85)가 즉위하자, 左大將을 左賢王으로 삼았는데 몇 년 뒤 病死하고 그 아들 先賢撣이 뒤를 잇지 못하자, 대신 日逐王으로 삼았다. 日逐王은 左賢王보다 지위가 낮았다. 선우는 자신의 아들을 左賢王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5)
    僮僕都尉 : 日逐王 휘하에 두어진 職名. ‘童僕’은 ‘奴隷’의 의미인데, 서역의 여러 나라를 마치 노예를 부리듯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6)
    뒤에 焉耆國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7)
    危須(ngwie-siu) : 뒤에 危須國에 관한 주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8)
    尉黎(jwei-liei) : 尉犂라고도 표기. 뒤의 尉犂에 대한 주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9)
    顔注 : “給은 足의 뜻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0)
    즉 현재 陝西省 中部.
     바로가기
  • 각주 011)
    顔注 : “錯은 雜의 뜻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2)
    ‘界中國’ : 顔注 : “中國의 경계로 삼다는 뜻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3)
    臨洮 : 隴西郡에 속한 縣名이며 현재 감숙성 岷縣에 해당. 반면 현재 臨洮는 당시의 臨洮가 아니라 狄道에 해당되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진시황
지명
오손, 언기(焉耆), 위수(危須), 위려(尉黎), 주나라, 경수(涇水), 위수(渭水), 임도(臨洮)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역의 풍습 및 흉노와의 관계를 설명 자료번호 : jo.k_0002_0096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