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穹廬寑息, 資拜日以訓恭,

穹廬寑息, 資拜日以訓恭,
後漢書曰: “烏桓俗, 善騎射, 弋獦주 001
각주 001)
원문 「獦」.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獵」으로 교감. 두 글자 모두 사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감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닫기
주 002
각주 002)
원문 「禽」.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獸」를 보입하여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爲事, 隨水草放牧. 居無常處, 以穹廬爲舍. 開주 003
각주 003)
원문 「開」. 탕천본·길림본 「東開」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向日, 皆東拜日주 004
각주 004)
원문 「皆東拜日」. 탕천본 「注云皆東拜日」로 교감. 탕천본은 해당 내용이 바로 앞 구절인 「東開向日」의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하는 보주의 문구라고 보았다. 이에 해당 내용 앞에 「注云」을 보입하였다. 그러나 해당 부분이 주문인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 食肉飮酪, 以毛毳爲衣. 貴少而賤老. 其性悍주 005
각주 005)
원문 「▼{心+卑}」. 죽내본 「悍」 탕천본·길림본 「悍」로 교감. 의미상 「悍」로 교감.
닫기
塞. 怒則殺父兄, 而終不害其母, 以母有族주 006
각주 006)
원문 「族」. 길림본은 「挨」로 판독 후 「族」으로 교감.
닫기
類, 父兄無相仇주 007
각주 007)
원문 「신출자」. 죽내본 「仇」로 판독, 탕천본 「仇」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하여 「仇」로 교감.
닫기
報故也.”

  • 각주 001)
    원문 「獦」.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獵」으로 교감. 두 글자 모두 사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감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禽」.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獸」를 보입하여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開」. 탕천본·길림본 「東開」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皆東拜日」. 탕천본 「注云皆東拜日」로 교감. 탕천본은 해당 내용이 바로 앞 구절인 「東開向日」의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하는 보주의 문구라고 보았다. 이에 해당 내용 앞에 「注云」을 보입하였다. 그러나 해당 부분이 주문인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心+卑}」. 죽내본 「悍」 탕천본·길림본 「悍」로 교감. 의미상 「悍」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族」. 길림본은 「挨」로 판독 후 「族」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신출자」. 죽내본 「仇」로 판독, 탕천본 「仇」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하여 「仇」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穹廬寑息, 資拜日以訓恭, 자료번호 : hw.m_0002_00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