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徵側叛換, 合浦申馬援之功,

徵側叛換, 合浦申馬援之功,
後漢書曰: “建武十六年, 交阯女子徵側及其妹徵貳反주 001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길림본은 「功郡」을 보입하여 교감하였다. 해석상 「功郡」이 없어도 무리가 없으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 徵側주 002
각주 002)
원문 「則」.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側」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側」으로 교감.
닫기
者, 麊주 003
각주 003)
원문 「麋」.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麊」로 교감. 지역명이므로 「麊」로 교감.
닫기
주 004
각주 004)
원문 「浴佮」. 원문에는 「浴」자가 더 들어가 있으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浴」자를 연문으로 처리. 또한 「佮」는 「泠」으로 교감. 지역명이므로 「浴」은 생략하고 「泠」으로 교감.
닫기
縣雒주 005
각주 005)
원문 「碓」.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雒」으로 교감. 지역명임을 고려하여 「雒」으로 교감.
닫기
將之[女也]주 006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 「女」를 보입, 길림본 「女也」를 보입해 교감하였다. 해석상 「女也」를 보입하여 교감.
닫기
, 嫁[爲]주 007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嫁」 뒤에 「爲」자를 보입하여 교감. 보다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爲」를 보입하여 교감.
닫기
朱䳒주 008
각주 008)
원문 「鵞」.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䳒」로, 길림본은 「鳶」으로 판독. 고유명사이므로 「䳒」으로 교감.
닫기
人詩索妻, 妻주 009
각주 009)
원문 「妻 〻」. 앞구와 뒷구에 같은 글자가 반복되어 원문에는 기호로 표기되어 있다. 죽내본은 반복 표시를 원문대로 두었다. 탕천본·길림본 「甚」을 보입·교감하였는데, 탕천본 「妻甚」으로, 길림본 「妻妻甚」으로 교감. 해석상 「甚」자는 없어도 무방하므로 「妻妻」로 교감.
닫기
雄勇. 交阯太守蘇定以法繩之, 側忿, 故反주 010
각주 010)
원문 「返」.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反」으로 교감. 문장의 의미를 고려하여 「反」으로 교감.
닫기
. 於是九眞·日南·合주 011
각주 011)
원문 「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合」으로 교감. 지명이므로 「合」으로 교감.
닫기
浦蠻里皆應之, 凡略六十五城. 自立爲王. 交阯刺史주 012
각주 012)
원문 「吏刾」. 죽내본·탕천본·길림본과 「刺史」로 교감. 관직명이므로 「刺史」로 교감.
닫기
及諸太守僅得自守. 十八年, 乃遣伏波將軍馬援·樓船將軍段주 013
각주 013)
원문 「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段」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段」으로 교감.
닫기
志, 發長沙·桂陽·零陵·蒼梧兵萬餘人, 討之. 明年[夏四]주 014
각주 01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은 「四」를 보입해서 교감하였으나, 길림본과 같이 『後漢書』를 참조하여 「夏四」 두 자를 보입하여 교감.
닫기
月, 援破[交]주 015
각주 01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같이 「交」자 보입하여 교감. 지역명이므로 「交」자 보입하여 교감.
닫기
阯, 斬[徵]주 016
각주 01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앞서 나온 이름이기 때문에 「徵」을 생략해도 되지만, 바로 뒤에 이어지는 「徵貳」를 고려해 죽내본·탕천본·길림본과 동일하게 「徵」자를 보입하여 교감.
닫기
側徵貳等, 餘皆降散. 進擊九眞賊都陽等, 破降之. 徙其渠帥주 017
각주 017)
원문 「師」. 죽내본은 원문대로 두었다. 그러나 「渠帥」를 지칭하므로, 탕천본·길림본과 동일하게 「帥」로 교감.
닫기
三百餘口於零陵也.”

  •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길림본은 「功郡」을 보입하여 교감하였다. 해석상 「功郡」이 없어도 무리가 없으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則」.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側」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側」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麋」.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麊」로 교감. 지역명이므로 「麊」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浴佮」. 원문에는 「浴」자가 더 들어가 있으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浴」자를 연문으로 처리. 또한 「佮」는 「泠」으로 교감. 지역명이므로 「浴」은 생략하고 「泠」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碓」.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雒」으로 교감. 지역명임을 고려하여 「雒」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 「女」를 보입, 길림본 「女也」를 보입해 교감하였다. 해석상 「女也」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嫁」 뒤에 「爲」자를 보입하여 교감. 보다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爲」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鵞」.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䳒」로, 길림본은 「鳶」으로 판독. 고유명사이므로 「䳒」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妻 〻」. 앞구와 뒷구에 같은 글자가 반복되어 원문에는 기호로 표기되어 있다. 죽내본은 반복 표시를 원문대로 두었다. 탕천본·길림본 「甚」을 보입·교감하였는데, 탕천본 「妻甚」으로, 길림본 「妻妻甚」으로 교감. 해석상 「甚」자는 없어도 무방하므로 「妻妻」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返」.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反」으로 교감. 문장의 의미를 고려하여 「反」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合」으로 교감. 지명이므로 「合」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吏刾」. 죽내본·탕천본·길림본과 「刺史」로 교감. 관직명이므로 「刺史」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段」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段」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은 「四」를 보입해서 교감하였으나, 길림본과 같이 『後漢書』를 참조하여 「夏四」 두 자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같이 「交」자 보입하여 교감. 지역명이므로 「交」자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앞서 나온 이름이기 때문에 「徵」을 생략해도 되지만, 바로 뒤에 이어지는 「徵貳」를 고려해 죽내본·탕천본·길림본과 동일하게 「徵」자를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師」. 죽내본은 원문대로 두었다. 그러나 「渠帥」를 지칭하므로, 탕천본·길림본과 동일하게 「帥」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徵側叛換, 合浦申馬援之功, 자료번호 : hw.m_0002_011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