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玄犀薦祉, 通譯元始之年,

玄犀薦祉, 通譯元始之年,
後漢書曰: “王莽輔政주 001
각주 001)
원문 「車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輔政」으로 교감. 의미상 「輔政」으로 교감.
닫기
, 元始二年, 日주 002
각주 002)
원문 「亡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亡」을 연문으로 파악하여 빼고 교감. 「日南」이 고유명사이므로 동일하게 「亡」자를 탈락시켜 교감.
닫기
南之南黃支國來獻犀牛. 凡주 003
각주 003)
원문 「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凡」으로 교감. 의미상 「凡」으로 교감.
닫기
交阯所統, 雖置郡縣, 而言語各異, 重譯乃通. 人如禽獸, 長幼주 004
각주 004)
원문 「幼」. 길림본 「紉」로 판독하고 「幼」로 교감.
닫기
無別, 項주 005
각주 005)
원문 「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項」으로 교감한 것을 참조하여 「項」으로 교감.
닫기
髻徙주 006
각주 006)
원문 「徒」. 탕천본은 원문대로 판독, 죽내본·길림본은 「徙」로 교감. 해석을 고려해 「徙」로 교감.
닫기
跣, 以布貫頭而著之. 後頗徙中國罪人, 使雜주 007
각주 007)
원문 「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雜」으로 교감. 해석을 고려하여 「雜」으로 교감.
닫기
居其間주 008
각주 008)
원문 「間」. 길림본은 「閒」으로 교감하였으나 두 글자는 동일한 뜻이다. 이에 원문대로 둠.
닫기
, 乃稍知言語, 漸見禮化也.”

  • 각주 001)
    원문 「車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輔政」으로 교감. 의미상 「輔政」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亡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亡」을 연문으로 파악하여 빼고 교감. 「日南」이 고유명사이므로 동일하게 「亡」자를 탈락시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凡」으로 교감. 의미상 「凡」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幼」. 길림본 「紉」로 판독하고 「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湏」.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項」으로 교감한 것을 참조하여 「項」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徒」. 탕천본은 원문대로 판독, 죽내본·길림본은 「徙」로 교감. 해석을 고려해 「徙」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雜」으로 교감. 해석을 고려하여 「雜」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間」. 길림본은 「閒」으로 교감하였으나 두 글자는 동일한 뜻이다. 이에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玄犀薦祉, 通譯元始之年, 자료번호 : hw.m_0002_011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