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部貴五宗.

部貴五宗주 001
각주 001)
원문 「宗」.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宗」으로 교감했다고 표기.
닫기
.
魏略曰: “其國本주 002
각주 002)
원문 「大」.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本」으로 교감. 『삼국지』 고구려전을 참조해 「本」으로 교감.
닫기
有五族, 有消奴部·[絶奴部]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絶奴部」를 보입. 5부라고 했으므로 『후한서』 고구려전을 참조해 「絶奴部」 보입.
닫기
·順[奴部]주 004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奴部」를 보입. 문맥상 「奴部」가 누락된 것이 분명하므로 「奴部」를 보입.
닫기
·灌주 005
각주 005)
원문 「准」.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灌」으로 교감. 『후한서』 고구려전을 참조해 「灌」으로 교감.
닫기
奴部·주 006
각주 006)
원문 「樓桂樓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樓」를 연문으로 보고 생략. 연문이 확실하므로 「樓」를 생략하여 교감.
닫기
桂樓部. [本消奴部]주 007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本消奴部」를 보입. 문맥을 고려하고 『후한서』 고구려전을 참조해 「本消奴部」를 보입.
닫기
爲王주 008
각주 008)
원문 「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王」으로 교감. 『후한서』 고구려전을 참조해 「王」으로 교감.
닫기
, 微弱주 009
각주 009)
원문 「徵弱」. 죽내본 「微弱」, 탕천본·길림본 「稍微弱」으로 교감. 「稍」를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보입하지 않고, 「徵弱」은 문맥상 「微弱」으로 교감.
닫기
, [今]주 010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今」을 보입. 과거와 현재를 대비하여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므로 현시점을 나타내는 「今」을 보입하여 문장의 의미를 살림.
닫기
桂樓部代之. 五部皆貴人之族也. 一曰주 011
각주 011)
원문 「人」. 죽내본 「云」, 탕천본·길림본 「曰」로 교감. 문장 구조상 「曰」로 교감.
닫기
內部, 卽後漢時주 012
각주 012)
원문 「卽後漢書」. 죽내본 「曰」을 보입하여 「卽後漢書曰」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卽後漢時」로 교감. 『신당서』 고려전의 문장과 비교해볼 때, 「卽後漢時」 또는 「卽後漢」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卽後漢時」로 교감.
닫기
桂樓部. 一名黃部주 013
각주 013)
원문 「一名黃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은 반복되는 부분을 연문으로 간주. 연문인 듯하므로 「一名黃部」를 생략하여 교감.
닫기
. 二曰北部, 卽絶奴部주 014
각주 014)
원문 「卽絶奴部卽絶奴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은 반복되는 부분을 연문으로 간주. 연문인 듯하므로 「卽絶奴部」를 생략하여 교감.
닫기
. 一주 015
각주 015)
원문 「卽」.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一」로 교감. 앞뒤 문장 구조를 고려했을 때 「一」이 타당하므로 「一」로 교감.
닫기
名後部, 一名黑部. 三曰東部, 卽順奴部. 一名左주 016
각주 016)
원문 「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左」로 교감. 문맥상 「左」로 교감.
닫기
部, 一名上部, 一名靑部. 四曰南部, 卽灌奴部. 一名前[部]주 017
각주 01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部」를 보입. 문장 구조상 「部」를 보입.
닫기
, 一名赤部. 五曰西部, 卽消奴部也주 018
각주 018)
원문 「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也」를 생략.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상 문제가 없으므로 생략하지 않음.
닫기
. 一名右部. 其內주 019
각주 019)
원문 「北」.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內」로 교감. 바로 다음에 內部가 나오는 것을 고려하여 「內」로 교감.
닫기
部, 如燕內部. 姓高, 卽王族也. 高麗稱無주 020
각주 020)
원문 「稱無」.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無稱」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姓者, 皆內部也. 又內部雖爲王宗, 列在東部之下. 其國從事, 以東爲首, 故東部居上.”

  • 각주 001)
    원문 「宗」.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 수 없으나 「宗」으로 교감했다고 표기.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大」.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本」으로 교감. 『삼국지』 고구려전을 참조해 「本」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絶奴部」를 보입. 5부라고 했으므로 『후한서』 고구려전을 참조해 「絶奴部」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奴部」를 보입. 문맥상 「奴部」가 누락된 것이 분명하므로 「奴部」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准」.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灌」으로 교감. 『후한서』 고구려전을 참조해 「灌」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樓桂樓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樓」를 연문으로 보고 생략. 연문이 확실하므로 「樓」를 생략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本消奴部」를 보입. 문맥을 고려하고 『후한서』 고구려전을 참조해 「本消奴部」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王」으로 교감. 『후한서』 고구려전을 참조해 「王」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徵弱」. 죽내본 「微弱」, 탕천본·길림본 「稍微弱」으로 교감. 「稍」를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보입하지 않고, 「徵弱」은 문맥상 「微弱」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今」을 보입. 과거와 현재를 대비하여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므로 현시점을 나타내는 「今」을 보입하여 문장의 의미를 살림.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人」. 죽내본 「云」, 탕천본·길림본 「曰」로 교감. 문장 구조상 「曰」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卽後漢書」. 죽내본 「曰」을 보입하여 「卽後漢書曰」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卽後漢時」로 교감. 『신당서』 고려전의 문장과 비교해볼 때, 「卽後漢時」 또는 「卽後漢」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卽後漢時」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一名黃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은 반복되는 부분을 연문으로 간주. 연문인 듯하므로 「一名黃部」를 생략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卽絶奴部卽絶奴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은 반복되는 부분을 연문으로 간주. 연문인 듯하므로 「卽絶奴部」를 생략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卽」.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一」로 교감. 앞뒤 문장 구조를 고려했을 때 「一」이 타당하므로 「一」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左」로 교감. 문맥상 「左」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部」를 보입. 문장 구조상 「部」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 「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也」를 생략.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상 문제가 없으므로 생략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北」.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內」로 교감. 바로 다음에 內部가 나오는 것을 고려하여 「內」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稱無」.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無稱」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部貴五宗.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