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仁隨萬物, 自扇九種之風,

仁隨萬物, 自扇九種之風,
漢書地[理]주 001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理」를 보입. 지리지를 가리키므로 「理」를 보입.
닫기
志曰: “長[岑]주 002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岑」을 보입.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岑」을 보입.
닫기
·駟望, 封箕子縣也.” 後[漢]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漢」을 보입. 『후한서』를 가리키는 부분이므로 「漢」을 보입.
닫기
書曰: “王制云, 東方曰夷, 夷者柢주 004
각주 004)
원문 「松」.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柢」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柢」로 교감.
닫기
也. 言仁而好生, 萬物柢주 005
각주 005)
원문 「▼{牛+互}」.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柢」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柢」로 교감.
닫기
地而出. 故天性柔順, 易以道御, 至有君子不死之國焉. 夷有九種, 曰畎주 006
각주 006)
원문 「狀」.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畎」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畎」으로 교감.
닫기
夷·于[夷]주 007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夷」 보입. 문장 구조상 「夷」를 보입.
닫기
·方夷·黃[夷]주 008
각주 00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夷」 보입. 문장 구조상 「夷」를 보입.
닫기
·[白夷]주 009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白夷」 보입. 夷가 아홉이라고 했으므로 하나를 보입해야 하며, 이에 『후한서』를 참조해 「白夷」를 보입.
닫기
·赤夷·[玄夷]주 010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玄夷」 보입. 夷가 아홉이라고 했으므로 하나를 보입해야 하며, 이에 『후한서』를 참조해 「玄夷」를 보입.
닫기
·風夷·陽夷, 故孔子欲居九夷也. 漢初燕주 011
각주 011)
원문 「戀」. 길림본 「燕」으로 교감. 위만은 연에서 조선으로 왔다고 전하므로 「燕」으로 교감.
닫기
人衛滿, 避地朝鮮. 因王其國, 百有餘歲之주 012
각주 012)
원문 「之」.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之」를 생략.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생략하지 않음.
닫기
.”

  •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理」를 보입. 지리지를 가리키므로 「理」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岑」을 보입. 『한서』 지리지를 참조해 「岑」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漢」을 보입. 『후한서』를 가리키는 부분이므로 「漢」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松」.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柢」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柢」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牛+互}」.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柢」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柢」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狀」.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畎」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畎」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夷」 보입. 문장 구조상 「夷」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夷」 보입. 문장 구조상 「夷」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白夷」 보입. 夷가 아홉이라고 했으므로 하나를 보입해야 하며, 이에 『후한서』를 참조해 「白夷」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玄夷」 보입. 夷가 아홉이라고 했으므로 하나를 보입해야 하며, 이에 『후한서』를 참조해 「玄夷」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戀」. 길림본 「燕」으로 교감. 위만은 연에서 조선으로 왔다고 전하므로 「燕」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之」.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之」를 생략.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생략하지 않음.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仁隨萬物, 自扇九種之風,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