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繞林課校, 龍城之敬逾深,

繞林課校, 龍城之敬逾深,
漢書曰: “匈奴以주 001
각주 001)
『漢書』에는 「匈奴以」 세 글자가 없다. 길림본은 이를 『翰苑』을 작성한 자가 덧붙인 것으로 봄.
닫기
歲正月, 諸長小會單于庭, 祠. 五月, 大會龍城, 祭其先·天[地]주 002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地」를 보입. 『한서』는 물론 『사기』에도 해당부분이 「天地」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地」를 보입.
닫기
·鬼神. 秋馬肥, 大會蹛林, 課校주 003
각주 003)
원문 「校」. 길림본은 「挍」로 판독하고 「校」로 교감.
닫기
人畜計. 注云: ‘秋社, 八月中, 皆會祭處.’ 又曰: ‘蹛者, 繞也. 言繞林木而祭也.’ 其法, 拔刃尺者, 死, 坐盜者, 沒入其家주 004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人」을 보입. 그러나 『한서』에도 「人」자는 없다. 또한 해당 글자가 없어도 뜻이 통하므로 보입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닫기
. 有辠주 005
각주 005)
원문 「辠」.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辠」로 판독 후 「罪」로 교감. 글자를 바꾸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 小者, 軋주 006
각주 006)
원문 「軌」.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軋」로 교감. 죄에 대한 형벌을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므로, 형벌의 명칭인 「軋」로 교감.
닫기
, 大者, 死. 獄久주 007
각주 007)
원문 「分」.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久」로 교감. 문맥상 「久」로 교감.
닫기
者, 不滿十日, 一國之囚, 不過數人. 而單于朝出營, 拜日之始生, 夕拜月주 008
각주 008)
원문 「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月」로 교감. 아침에 해에 절하는 행동과 대비되는 내용이며, 따라서 저녁에 나타나는 「月」로 교감.
닫기
. 其坐長左而北向. 日上戊주 009
각주 009)
원문 「代」.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戊」로 교감. 『한서』와 『사기』를 참조해 「戊」로 교감.
닫기
주 010
각주 010)
원문 「巳」.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己」로 교감. 『한서』와 『사기』를 참조해 「己」로 교감.
닫기
. 其送주 011
각주 011)
원문 「送」. 길림본은 「遠」으로 판독하고, 「送」으로 교감.
닫기
死, 有棺槨주 012
각주 012)
원문 「槨」. 길림본은 「槨」으로 판독하고, 「椁」으로 교감하였으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함. 따라서 원문대로 둠.
닫기
·金銀衣裳, 而無封樹·喪服也.”

  • 각주 001)
    『漢書』에는 「匈奴以」 세 글자가 없다. 길림본은 이를 『翰苑』을 작성한 자가 덧붙인 것으로 봄.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地」를 보입. 『한서』는 물론 『사기』에도 해당부분이 「天地」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地」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校」. 길림본은 「挍」로 판독하고 「校」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人」을 보입. 그러나 『한서』에도 「人」자는 없다. 또한 해당 글자가 없어도 뜻이 통하므로 보입하지 않고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辠」.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辠」로 판독 후 「罪」로 교감. 글자를 바꾸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軌」.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軋」로 교감. 죄에 대한 형벌을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므로, 형벌의 명칭인 「軋」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分」.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久」로 교감. 문맥상 「久」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月」로 교감. 아침에 해에 절하는 행동과 대비되는 내용이며, 따라서 저녁에 나타나는 「月」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代」.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戊」로 교감. 『한서』와 『사기』를 참조해 「戊」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巳」.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己」로 교감. 『한서』와 『사기』를 참조해 「己」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送」. 길림본은 「遠」으로 판독하고, 「送」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槨」. 길림본은 「槨」으로 판독하고, 「椁」으로 교감하였으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함. 따라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繞林課校, 龍城之敬逾深,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