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屠耆繼體, 允屬賢良之寄.

屠耆繼體, 允屬賢良之寄.
漢書曰: “匈奴謂[賢]주 001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賢」을 보입. 문맥상, 또한 『한서』 기록을 참조하여 「賢」을 보입.
닫기
曰屠耆. 故常주 002
각주 002)
원문 「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常」으로 교감. 문맥상 「常」으로 교감.
닫기
以太子爲左屠耆王. 自左右賢[王]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王」을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王」을 추가하면 ‘左右賢王’임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다. 이에 보입.
닫기
以下至當戶, 大者萬餘騎, 小者數千. 凡二十四長立, 號曰‘萬騎’. 其大臣皆代주 004
각주 004)
원문 「代」.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世」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모두 당태종 이세민의 피휘로 인해 代가 되었다고 밝혔으나 탕천본만 「世」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官, 呼衍氏·蘭氏, 其後有須주 005
각주 005)
원문 「湏」. 須卜은 흉노의 貴姓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이므로 「須」로 교감.
닫기
卜氏, 此三姓, 其貴種也. 諸左王將居東方, 直上谷以東, 接주 006
각주 006)
원문 「椄」. 길림본 「椄」으로 판독한 후 「接」으로 교감. 문맥상 「接」으로 교감.
닫기
穢貉주 007
각주 007)
원문 「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貉」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貉」으로 교감.
닫기
·朝鮮, 右王將居西方, 直上郡以西, 接주 008
각주 008)
원문 「椄」. 길림본 「椄」으로 판독한 후 「接」으로 교감. 문맥상 「接」으로 교감.
닫기
주 009
각주 009)
원문 「彑」. 죽내본 「▼{夕/灬}」으로 판독한 후, 「弖」로 교감. 탕천본 「氐」로 교감. 氐·羌 등 유목민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여겨지므로 「氐」로 교감.
닫기
·羌. 而單于庭, 直주 010
각주 010)
원문 「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直」으로 교감. 문맥상 「直」으로 교감.
닫기
代·雲中. 各[有]주 011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有」를 보입. 문장의 흐름 상 동사에 해당하는 글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有」를 보입.
닫기
分地, 逐주 012
각주 012)
원문 「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逐」으로 교감. 문맥상 「逐」으로 교감.
닫기
水草移徙주 013
각주 013)
원문 「從」.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徙」로 교감. 문맥상 「徙」로 교감.
닫기
. 而[左右賢王]주 014
각주 01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左右賢王」을 보입. 해당 문장은 大國의 범주를 이야기하고 있으며, 흉노 관직의 서열상 左右賢王이 左右谷蠡보다 높기 때문에 이를 추가할 경우 보다 정확한 의미 전달이 가능함. 따라서 「左右賢王」을 보입.
닫기
·左右谷蠡最주 015
각주 015)
원문 「𡪯」. 문맥을 고려하여 「最」로 교감.
닫기
주 016
각주 016)
원문 「爲」. 『한원』에는 해당 글자가 있으며, 이는 『사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저본이 되는 『한서』에는 「爲」가 기록되어 있지 않음.
닫기
大國, 左右骨都侯輔政. 諸二十四長, 亦各自置千長·百長·什長·裨小王·相·都尉·當戶·且渠之屬也.”

  •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賢」을 보입. 문맥상, 또한 『한서』 기록을 참조하여 「賢」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常」으로 교감. 문맥상 「常」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王」을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王」을 추가하면 ‘左右賢王’임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다. 이에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代」. 죽내본·길림본 원문대로, 탕천본 「世」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모두 당태종 이세민의 피휘로 인해 代가 되었다고 밝혔으나 탕천본만 「世」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湏」. 須卜은 흉노의 貴姓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이므로 「須」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椄」. 길림본 「椄」으로 판독한 후 「接」으로 교감. 문맥상 「接」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谿」.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貉」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貉」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椄」. 길림본 「椄」으로 판독한 후 「接」으로 교감. 문맥상 「接」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彑」. 죽내본 「▼{夕/灬}」으로 판독한 후, 「弖」로 교감. 탕천본 「氐」로 교감. 氐·羌 등 유목민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여겨지므로 「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直」으로 교감. 문맥상 「直」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有」를 보입. 문장의 흐름 상 동사에 해당하는 글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有」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逐」으로 교감. 문맥상 「逐」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從」.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徙」로 교감. 문맥상 「徙」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左右賢王」을 보입. 해당 문장은 大國의 범주를 이야기하고 있으며, 흉노 관직의 서열상 左右賢王이 左右谷蠡보다 높기 때문에 이를 추가할 경우 보다 정확한 의미 전달이 가능함. 따라서 「左右賢王」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𡪯」. 문맥을 고려하여 「最」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爲」. 『한원』에는 해당 글자가 있으며, 이는 『사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저본이 되는 『한서』에는 「爲」가 기록되어 있지 않음.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屠耆繼體, 允屬賢良之寄.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