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文馬伏閑, 知五侯之慕化.

文馬伏閑주 001
각주 001)
원문 「閑」. 탕천본·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闕」로 교감. 「閑」에 馬廐라는 의미가 있다는 점(『주례』 하관 교인)을 고려해 원문대로 둠.
닫기
, 知五侯之慕化.
後漢書曰: “建주 002
각주 002)
원문 「光」.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建」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建」으로 교감.
닫기
武二十六年 詔乃聽南單于入居雲中. 遣使上書, 獻駱駝二頭·文馬十匹. 夏南單于所獲北虜薁鞬左賢王, 將其衆及南部주 003
각주 003)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衍文으로 간주하여 생략. 원문의 내용이 「南部部」인 것으로 뒤에 「部」는 연문인 듯함. 이에 생략하여 교감.
닫기
五骨都侯合三萬餘人叛歸, 去北庭三百餘里, 共주 004
각주 004)
원문 「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共」으로 교감. 문맥과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해 「共」으로 교감.
닫기
立薁鞬주 005
각주 005)
원문 「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鞬」으로 교감. 앞의 정문의 주문과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해 「鞬」으로 교감.
닫기
左賢王爲單于. 月餘日更相攻주 006
각주 006)
원문 「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攻」으로 교감. 문맥상 「攻」으로 교감.
닫기
擊, 五骨都侯皆死, 左賢王遂自殺, 諸骨都侯子各擁주 007
각주 007)
원문 「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擁」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擁」으로 교감.
닫기
兵自守云云也.”

  • 각주 001)
    원문 「閑」. 탕천본·길림본 원문대로, 죽내본 「闕」로 교감. 「閑」에 馬廐라는 의미가 있다는 점(『주례』 하관 교인)을 고려해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光」.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建」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建」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衍文으로 간주하여 생략. 원문의 내용이 「南部部」인 것으로 뒤에 「部」는 연문인 듯함. 이에 생략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共」으로 교감. 문맥과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해 「共」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鞬」으로 교감. 앞의 정문의 주문과 『후한서』의 기록을 참조해 「鞬」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攻」으로 교감. 문맥상 「攻」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擁」으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擁」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文馬伏閑, 知五侯之慕化.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