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備塞勸農, 本資鼂錯之策.

備塞勸農, 本資鼂주 001
각주 001)
원문 「朝」. 길림본 「鼂」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鼂」로 교감.
닫기
錯之策.
漢書曰: “文帝時, 匈奴數寇주 002
각주 002)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문맥상 「寇」로 교감.
닫기
邊, 太[子]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子」를 보입. 태자가령을 가리키며, 이에 『한서』를 참조해 「子」를 보입.
닫기
家令鼂錯上兵事三章. 又言: ‘守邊備塞, 勸農力本, 當代주 004
각주 004)
원문 「伐」. 죽내본·길림본 「代」로, 탕천본 「世」로 교감. 문맥상 「代」로 교감.
닫기
急務주 005
각주 005)
원문 「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務」로 교감. 문맥상 「務」로 교감.
닫기
二事.’ 曰: ‘夫胡貉주 006
각주 006)
원문 「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貉」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貉」으로 교감.
닫기
之地積陰之處, 木皮三寸, 氷주 007
각주 007)
원문 「水」.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氷」으로 교감. 문맥상 「氷」으로 교감.
닫기
厚六尺. 食肉而歆酪, 其人密理而能寒주 008
각주 008)
원문 「塞」.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寒」으로 교감. 문맥상 「寒」으로 교감.
닫기
. 故주 009
각주 009)
원문 「胡」.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故」로 교감. 문맥상 「故」로 교감.
닫기
人非有城郭田宅之歸居주 010
각주 010)
원문 「居」.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歸居」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 如飛鳥走獸. 放주 011
각주 011)
원문 「收」. 죽내본 「牧」, 탕천본·길림본 「放」으로 교감. 문맥상 「放」으로 교감.
닫기
於廣[壄]주 012
각주 01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壄」를 보입. 『한서』를 참조해 「壄」를 보입.
닫기
, 美草甘水則止, 草盡水竭則移,此胡人之生業, 而中國之所以離南畝也. 今使胡[人]주 013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人」을 보입. 문맥상 「人」을 보입
닫기
轉牧行獵주 014
각주 014)
원문 「獦」.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獵」으로 교감.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於寒주 015
각주 015)
원문 「塞」. 죽내본 「寒」으로, 탕천본·길림본 「寒下」로 교감.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親附之歡.’ 班固議曰:‘漢興以來, 曠代歷年, 兵纏夷狄주 016
각주 016)
원문 「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狄」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狄」으로 교감.
닫기
, 尤事匈奴. 綏주 017
각주 017)
원문 「▼{糸+妾}」. 탕천본·길림본 「綏」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綏」로 교감.
닫기
禦之方, 其途주 018
각주 018)
원문 「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途」로 교감. 문맥상 「途」로 교감.
닫기
不一. 或脩주 019
각주 019)
원문 「脩」. 탕천본·탕천본 「脩」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脩」로 교감.
닫기
文以和之, 或用武以征之, 或卑下以就之, 或臣服而致之, 雖屈申주 020
각주 020)
원문 「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申」으로 교감. 문맥상 「申」으로 교감.
닫기
無常, 所因時異. 然未有拒絕棄放不與交接者也. 臣愚以爲, 宜依故事, 復遣使者. 虜使再來, 然後一往, 既明中國主存忠信, 且[知]주 021
각주 02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知」를 보입. 『후한서』를 참조하여 「知」를 보입.
닫기
聖朝禮義有常,豈可주 022
각주 022)
원문 「同」.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可」로 교감. 문맥상 「可」로 교감.
닫기
逆詐, 示猜孤주 023
각주 023)
원문 「孤」. 죽내본 「狐」로, 길림본 「孤」로 교감.
닫기
其善意乎. 絕之未知其利, 通之未聞其害. 設使北虜稍強, 能爲風塵方, 復求爲交通, 將何所及.’”

  • 각주 001)
    원문 「朝」. 길림본 「鼂」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鼂」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문맥상 「寇」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子」를 보입. 태자가령을 가리키며, 이에 『한서』를 참조해 「子」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伐」. 죽내본·길림본 「代」로, 탕천본 「世」로 교감. 문맥상 「代」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務」로 교감. 문맥상 「務」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貂」.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貉」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貉」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水」.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氷」으로 교감. 문맥상 「氷」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塞」.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寒」으로 교감. 문맥상 「寒」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胡」.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故」로 교감. 문맥상 「故」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居」.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歸居」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收」. 죽내본 「牧」, 탕천본·길림본 「放」으로 교감. 문맥상 「放」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壄」를 보입. 『한서』를 참조해 「壄」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人」을 보입. 문맥상 「人」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獦」. 죽내본·탕천본 원문대로, 길림본 「獵」으로 교감.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塞」. 죽내본 「寒」으로, 탕천본·길림본 「寒下」로 교감.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狄」으로 교감. 『한서』를 참조해 「狄」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糸+妾}」. 탕천본·길림본 「綏」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綏」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 「塗」.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途」로 교감. 문맥상 「途」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脩」. 탕천본·탕천본 「脩」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脩」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中」.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申」으로 교감. 문맥상 「申」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知」를 보입. 『후한서』를 참조하여 「知」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22)
    원문 「同」.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可」로 교감. 문맥상 「可」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3)
    원문 「孤」. 죽내본 「狐」로, 길림본 「孤」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備塞勸農, 本資鼂錯之策.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