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구룡이 [그] 머리를 넘겨주고서야, 바야흐로 마식의 위세를 펼칠 수 있었고,

구룡이 [그] 머리를 넘겨주고서야, 바야흐로 마식의 위세를 펼칠 수 있었고,
『후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영화 5년(140), [남흉노의] 구룡주 001
각주 001)
句龍은 흉노 좌부에 속하였지만 정치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있던 부락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며, 부락의 우두머리를 王으로 칭했던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예로 丁寧王이나 東胡王의 사례를 들 수 있다. 한편 『後漢書』 卷6 「孝順帝」에는 본문의 ‘句龍王’이 ‘句龍大人’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일부 연구자들은 王과 大人은 漢語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나타나 차이라고 보기도 하였다.
닫기
오사 등이 구룡왕 거뉴를 세워 선우로 삼았다. 동쪽으로는 오환을 끌어들이고, 서쪽으로는 강·융과 여러 호족 등 수만인을 받아들여 경조의 호아영을 공격해 격파하였으며, 상군도위와 군사마를 살해하고 마침내 병[주]·양[주]·유[주]·기[주] 네 개의 주를 약탈하였다주 002
각주 002)
주문 앞부분에 기록된 吾斯 등이 車紐를 선우로 삼은 것은 영화 5년(140)이다. 한편 馬寔이 吾斯를 죽이고 그의 머리를 수도로 보낸 것은 漢安 3년(143) 11월의 일이다. 해당 사건은 『후한서』 권6 「효순제」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닫기
. 중랑장 마식주 003
각주 003)
마식은 使匈奴中郞將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후한서』 권6 「효순제」 참조.
닫기
이 자객을 모아 구룡 오사를 죽이고 [그의] 머리를 낙양으로 보냈다. 건강 원년(144), 나아가 남은 무리를 격파하여 [적의] 머리 1천 200급을 참하니 흉노·오환 17만여 구가 모두 [마]식에게 이르러 항복하였다. [이때 포획한] 수레와 소와 말을 셀 수 없었다.”
 
• 참고
『後漢書』 卷89 南匈奴 秋句龍吾斯等立句龍王車紐爲單于 東引烏桓 西收羌戎及諸胡等數萬人 攻破京兆虎牙營 殺上郡都尉及軍司馬 遂寇掠幷涼幽冀四州 乃徙西河治離石 上郡治夏陽 朔方治五原 冬 遣中郞將張耽將幽州烏桓諸郡營兵 擊畔虜車紐等 戰於馬邑 斬首三千級 獲生口及兵器牛羊甚衆 車紐等將諸豪帥骨都侯乞降 而吾斯猶率其部曲與烏桓寇鈔 六年春 馬續率鮮卑五千騎到穀城擊之 斬首數百級 張耽性勇銳 而善撫士卒軍中皆爲用命 遂繩索相懸 上通天山 大破烏桓 悉斬其渠帥 還得漢民 獲其畜生財物 夏馬續復免 以城門校尉吳武代爲將軍 漢安元年 秋吾斯與薁鞮臺耆且渠伯德等復掠幷部 呼蘭若尸逐就單于兜樓儲先在京師 漢安二年立之 天子臨軒 大鴻臚持節拜授璽綬 引上殿 賜靑蓋駕駟鼓車安車駙馬騎玉具刀劍什物 給綵布二千匹 賜單于閼氏以下金錦錯雜具 軿車馬二乘 遣行中郞將持節護送單于歸南庭 詔太常大鴻臚與諸國侍子於廣陽城門外祖會 饗賜作樂 角抵百戱 順帝幸胡桃宮臨觀之 冬中郞將馬寔募刺殺句龍吾斯 送首洛陽 建康元年 進擊餘黨. 斬首千二百級 烏桓七十萬餘口皆詣寔降 車重牛羊不可勝數

  • 각주 001)
    句龍은 흉노 좌부에 속하였지만 정치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있던 부락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며, 부락의 우두머리를 王으로 칭했던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예로 丁寧王이나 東胡王의 사례를 들 수 있다. 한편 『後漢書』 卷6 「孝順帝」에는 본문의 ‘句龍王’이 ‘句龍大人’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일부 연구자들은 王과 大人은 漢語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나타나 차이라고 보기도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주문 앞부분에 기록된 吾斯 등이 車紐를 선우로 삼은 것은 영화 5년(140)이다. 한편 馬寔이 吾斯를 죽이고 그의 머리를 수도로 보낸 것은 漢安 3년(143) 11월의 일이다. 해당 사건은 『후한서』 권6 「효순제」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바로가기
  • 각주 003)
    마식은 使匈奴中郞將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후한서』 권6 「효순제」 참조.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구룡이 [그] 머리를 넘겨주고서야, 바야흐로 마식의 위세를 펼칠 수 있었고, 자료번호 : hw.k_0002_001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