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交阯開邊 前贍獻雉之國

交阯開邊 前贍獻雉之國
後漢書曰 交阯亦南有越常國 周公君주 001
각주 001)
죽내본 「居」, 길림본 「君」. 아래의 용례를 통해 「君」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宋 林逋
닫기
주 002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攝」. 아래의 용례를 통해 「攝」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닫기
六年 制胤주 003
각주 003)
죽내본 「胤」. 길림본 누락. 아래의 용례를 통해 「胤」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닫기
作樂 天下和平 本越常以象以象 重譯주 004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譯」. 아래의 용례를 통해 「譯」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닫기
而獻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獻」. 아래의 용례를 통해 「獻」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닫기
白雉曰 道路悠遠 山川阻栥 音使不通 故重譯而朝 成王以歸주 006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歸」. 아래의 용례를 통해 「歸」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닫기
周公 〻주 007
각주 007)
죽내본 「〻」, 길림본 「周公」. 자형에 따라 「〻」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曰 德不加焉 則君子不주 008
각주 008)
「不」자는 뒤에 가필한 듯 「子」와 「響」 사이가 아닌 오른쪽에 치우쳐 쓰였다.
신출자

원문
닫기
주 009
각주 009)
죽내본 「響」, 길림본 「嚮」. 아래의 용례를 통해 「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닫기
其質 賢주 010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賢」. 자형에 따라 「賢」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政不施焉 則君子不臣其遠 吾何以獲此賜也 其使諸曰 吾受命吾國之黃苟주 011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耉」. 아래의 용례를 통해 「苟」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曰分주 012
각주 012)
죽내본·길림본 「分」. 아래의 용례를 통해 「分」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닫기
矣 天之無烈風雷雨 意者中國有聖人乎 有則盡往朝之 周公乃歸之於王 稱先王之神致 以子宗廟也

  • 각주 001)
    죽내본 「居」, 길림본 「君」. 아래의 용례를 통해 「君」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宋 林逋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攝」. 아래의 용례를 통해 「攝」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 「胤」. 길림본 누락. 아래의 용례를 통해 「胤」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譯」. 아래의 용례를 통해 「譯」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獻」. 아래의 용례를 통해 「獻」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歸」. 아래의 용례를 통해 「歸」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 「〻」, 길림본 「周公」. 자형에 따라 「〻」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8)
    「不」자는 뒤에 가필한 듯 「子」와 「響」 사이가 아닌 오른쪽에 치우쳐 쓰였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 「響」, 길림본 「嚮」. 아래의 용례를 통해 「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賢」. 자형에 따라 「賢」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耉」. 아래의 용례를 통해 「苟」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길림본 「分」. 아래의 용례를 통해 「分」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대만이체자사전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交阯開邊 前贍獻雉之國 자료번호 : hw.d_0002_011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