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무내대신(武內大臣)의 후손...]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무내대신(武內大臣)의 후손이다. 추고(推古)의 시대에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다케치노코호리) 전구촌(田口村; 다구치노무라)에 살았다. 그래서 전구(田口; 다구치)라고 하였다. 풍도(豐島; 도요시마)는 이다류(伊多流; 이타루)의 아들이고, 광(光; 히카루)은 풍도의 아들이다. 정6위상 익인(益人; 마스히토)이 천무(天武)의 시대에 조신(朝臣)을 받았다.
 
【주석】
1. 성씨록운(姓氏錄云)
이 일문은 『고엽략류취초(古葉略類聚鈔)』 권제10, 전구익인대부(田口益人大夫)의 주에 인용된 것으로,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의 일문이다. 현재 초략본의 해당 조에서는 “석천조신(石川朝臣)과 조상이 같다. 무내숙녜대신(武內宿禰大臣)의 후손이다. 편복신(蝙蝠臣) 풍어식취옥희천황(豐御食炊屋姬天皇)[시호는 추고(推古)이다.]의 시대에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전구촌(田口村)에서 살았으므로 전구신(田口臣)이라고 하였다. 『일본기(日本紀)』 에는 빠졌다.(石川朝臣同祖. 武內宿禰大臣之後也. 蝙蝠臣, 豐御食炊屋姬天皇[諡推古.]御世, 家於大和國高市郡田口村, 仍號田口臣. 日本紀漏.)”라고 하였다.
2. 무내대신후(武內大臣後)
현재의 초략본에는 “석천조신(石川朝臣)과 조상이 같다. 무내숙녜대신(武內宿禰大臣)의 후손이다”라고 되어 있다. 무내대신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 무내숙녜대신(武內宿禰大臣) 참조.
3. 추고세(推古世)
현재의 초략본에는 “풍어식취옥희천황(豐御食炊屋姬天皇)[시호는 추고(推古)이다.]”라고 되어 있어서, 일문 쪽이 생략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대화국고시군전구촌(大和國高市郡田口村)
전구촌은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강원시(橿原市) 묘방정(畝傍町) 전중(田中) 일대로 생각된다.
5. 풍도(豐島)
이다류(伊多流)의 아들이며 광(光)의 아버지로, 여기에만 보인다.
6. 이다류(伊多流)
풍도(豐島)의 아버지이며, 여기에만 보인다.
7. 익인(益人)
경운(慶雲) 원년(704)에 종6위하에서 종5위하에 올랐으며(『속일본기』 慶雲 원년 정월 계사조), 화동(和銅) 원년(708)에 상야수(上野守)가 되었다(『속일본기』和銅 원년 3월 병오조). 화동 2년(709)에 우병위솔(右兵衛率)이 되었고(『속일본기』 和銅 2년 11월 갑인조), 영귀(靈龜) 원년(715)에 정5위상이 되었다(『속일본기』 靈龜 원년 4월 병자조). 『만엽집(萬葉集)』 에 그가 상야수로 부임하면서 지은 시 2수가 전한다.
8. 천무어시(天武御時)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 ‘천무’ 앞에 ‘천정중원영진인천황(天渟中原瀛眞人天皇)’이라는 일본식 시호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천무(天武) 13년(684)에 대삼륜군(大三輪君)을 비롯한 52씨에게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내렸는데, 이때 전구신(田口臣)은 보이지 않는다(『일본서기』 天武天皇 13년 11월 무신삭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무내대신(武內大臣)의 후손...] 자료번호 : ss.k_0003_004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