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상규물부(相槻物部; 나미츠키노모노노베)

상규물부(相槻物部; 나미츠키노모노노베)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가무니기하야히노미코토)이 천강(天降)할 때 시종으로 따라온 상규물부(相槻物部; 나미츠키노모노노베)의 후손이다.
 
【주석】
1. 상규물부(相槻物部)
상규물부의 상규(相槻; 나미츠키)라는 씨명은 『일본서기』 에 의하면 용명천황(用明天皇)이 반여지(磐余池; 이와레노이케) 주변에 쌍규궁(雙槻宮; 나미츠키노미야)을 축조하였다고 하고, 반여지는 이중천황(履中天皇)이 축조하였다고 기재되어 있다. 반여는 5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대화(大和; 야마토) 왕권의 정치적인 요지(要地)였고, 이 지역에 축조된 ‘반여지변쌍규궁’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앵정시(櫻井市) 일대에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1736년에 간행된 『대화지(大和誌)』 에는 석촌(石寸; 이와레)의 산구신사(山口神社)가 ‘쌍규신사(雙槻神社; 나미츠키진자)’라고 불리고 있다는 점에 의거하여 용명천황의 ‘반여지변쌍규궁’ 자리였을 것이라고 간주하기도 한다. 물부(物部; 모노노베)는 반조씨족인 물부에서 유래하였다.
상규물부씨(相槻物部氏) 일족에 관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2.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일본서기』 와 『고사기』 에 물부씨(物部氏)의 시조라고 적혀 있다. 『일본서기』 에는 요속일(饒速日; 니기하야히), 요속일명(饒速日命; 니기하야히노미코토), 즐옥요속일명(櫛玉饒速日命; 구시타마니기하야히노미코토), 『고사기(古事記)』 에는 이예속일명(邇藝速日命; 니기하야히노미코토)으로 표기되고 있다.
3. 상규물부(相槻物部)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천신본기(天神本紀)에는 ‘이전물부(二田物部)’ 이하 ‘축자지전물부(筑紫贄田物部)’까지 25물부의 천물부(天物部)가 기재되어 있다. 그 가운데 상규물부(相槻物部)가 보인다.
상규물부(相槻物部)는 『선대구사본기』 에 기재되어 있지만, 대화국 상규물부와의 관계를 입증할 자료가 「고기」 와 「구전」 등에 보이지 않아 세운 조상도 의문스럽기 때문에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상규물부(相槻物部; 나미츠키노모노노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0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