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비조호조(飛鳥戶造; 아스카베노미야츠코)

비조호조(飛鳥戶造; 아스카베노미야츠코)
 백제국(百濟國) 말다왕(末多王)의 후손이다.
 
【주석】
1. 비조호조(飛鳥戶造)
비조호(飛鳥戶)의 씨명은 안숙호(安宿戶), 안숙(安宿), 비조부(飛鳥部)라고도 쓴다. 하내국(河內國) 비조호군(飛鳥戶郡, 安宿郡)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비조호씨의 일족으로는 앞의 「비조호조(飛鳥戶造)」 조(1038), 우경 제번(하) 「비조호조」 조(887) 참조.
『정창원문서』 에는 앞의 조에 기록되지 않은 비조호씨 인명이 다수 보인다. 천평승보(天平勝寶) 4년(752) 2월 26일부 「조동대사사첩(造東大寺司牒)」 (『대일본고문서』12-220)에 비조부지만려(飛鳥部智万呂), 보귀(寶龜) 5년(774) 11월 6일부의 「경사등력명(經師等歷名)」(동 23-176)에 비조부장만려(飛鳥部長万呂), 천평승보 7년(755) 9월 28일부 「반전사력명(班田使歷名)」(동 4-81)에 비조호도족(飛鳥戶道足), 천평보자(天平寶字) 2년 8월30일 문서(동 4-297)에 안숙제견(安宿弟見), 천평보자 4년(760) 윤4월 11일부 「필묵직충장(筆墨直充帳)」(동 14-345)에 안숙광천(安宿廣川), 천평보자 5년 정월 6일부 사경소 문서(동 15-30)에 안숙진정(安宿眞淨) 등이 나온다. 대보(大寶) 2년(702)의 풍전국(豐前國)상삼모군(上三毛郡) 가자구야리(加自久也里)의 호적(동 1-159)에 비조호의등마려(飛鳥戶意等麻呂), 비조호도류기(飛鳥戶都流岐), 비조호이모매(飛鳥戶伊母賣), 비조호혜미매(飛鳥戶惠彌賣) 등 비조호 일족의 인명이 보인다.
한편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慶雲) 2년(768) 6월 계사조에서는 무장국(武藏國)에서 흰 꿩을 잡아 천황에게 바치자 이를 상서로운 일로 기뻐하여 흰 꿩을 잡은 사람에게 비조부(飛鳥部) 성과 길지오백국(吉志五百國)의 이름을 내렸다는 유래를 설명한다. 이어 해당 국군(國郡)에는 정세(正稅)의 미납분을 면제해 주고, 국사(國司)와 군사(郡司)는 승진시켰다. 그리고 비조부길지오백국(飛鳥部吉志五百國)에게는 종8위하의 관위와 실 20정, 명주 10정, 삼베 40단, 정세 1,000속을 주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일족으로는 『속일본기』연력(延曆) 8년(789) 6월 갑술조에 안숙호길족(安宿戶吉足)등이 나오고, 특히 『평안유문(平安遺文)』 에는 비조호씨(飛鳥戶氏) 인명들이 산견되고 있다.
2. 말다왕(末多王)
백제 제24대 동성왕(東城王, 재위 479~501)으로, 곤지(昆支)의 아들이며 무령왕(武寧王)의 이복동생이다.
『일본서기』 웅략기(雄略紀) 23년(479) 4월조에 “백제 문근왕(文斤王)이 죽었다. 천왕(天王)은 다섯 아들 중 둘째인 말다왕(末多王)이 어린데도 총명하므로 내리(內裏)로 불러 친히 머리와 얼굴을 어루만지며 은근하게 훈계하고 그 나라의 왕으로 삼았다. 이에 병기를 주고 축자국(筑紫國)의 군사 500인을 함께 보내어 나라까지 호송하게 하였다. 이가 동성왕이 되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동 무열기(武烈紀) 4년(502)조에는 “이해에 백제의 말다왕(末多王)이 무도하여 백성에게 포악한 짓을 하였다. 국인이 드디어 제거하고, 도왕(島王)을 세웠다. 이를 무령왕이라고 한다[백제신찬(百濟新撰)에게 말하였다. ‘말다왕이 무도하여 백성들에게 포악한 짓을 하였다. 국인이 함께 제거하였다. 무령왕이 섰다. 휘는 사마왕(斯麻王)이라 한다. 그는 곤지왕(琨支王)의 아들이다. 즉 말다왕의 이모형(異母兄)이다. 곤기(琨支)가 왜로 향할 때, 축자도(筑紫島)에 이르러 사마왕을 낳았다. 섬에서 돌려보냈지만, 왕경에 이르기 전에 섬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 지었다. 지금도 각라(各羅)의 바다에는 주도(主島)가 있다. 왕이 탄생한 섬이다. 그래서 백제인은 주도(主島)라 이름 붙였다. 지금 생각하니 도왕(島王)은 개로왕의 아들이다. 말다왕은 곤지왕(琨支王)의 아들이다. 이를 이모형이라 함은 아직 미상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동성왕이 어린 시절에 아버지 곤지를 따라 왜국에 가서 16년간 생활하고 백제왕으로 즉위한 사실, 후에 그가 포악하여 국인들에게 죽음을 당하고 무령왕이 즉위했다는 설화적 성격이 가미된 내용을 싣고 있다. 비조호조씨가 말다왕을 시조로 하는 출자로 기록된 것은 그가 곤지의 아들이라는 사실로부터 후대의 비조호조씨 중에서 비유왕이나 곤지 대신에 동성왕을 선조로 하는 계보를 주장하는 일족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비조호조(飛鳥戶造; 아스카베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40_0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