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진공(秦公; 하타노키미)

진공(秦公; 하타노키미)
 진 시황제(秦始皇帝)의 손자 효덕왕(孝德王)의 후손이다.
 
【주석】
1. 진공(秦公)
진공씨의 일족으로는 천평(天平) 4년(732)부 「승지수해(僧智首解)」(『대일본고문서』 1-447)에미농국(美濃國) 당기군(當嗜郡) 수호향(垂穗鄕)의 호주 진공마려(秦公麻呂), 호구 진공풍족(秦公豐足)이 나온다. 계시(堺市) 토탑정(土塔町) 대야사(大野寺)에 건립된 토탑에서 출토된 기와명(堺市敎育委員會, 2004, 『史迹と土塔―文字瓦聚成』)에 사찰 건립을 위해 보시한 것으로 보이는 진공색부지(秦公色夫智)라는 인물이 있다. 『영집해(令集解)』 3(圖書寮條, 「太政官符」 弘仁 3년 2월 28일부)에도 진공실성(秦公室成)이 있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2년 10월 정유조에 찬기국(讚岐國) 사람 종6위상 진부복의(秦部福依) 등에게 진공(秦公)의 성을 주었다고 한다. 『일본삼대실록』 원경(元慶) 원년(877) 12월 신묘조에 “찬기국(讚岐國) 향하군(香河郡) 사람 좌소사(左少史) 정6위상 진공직종(秦公直宗), 동생인 탄정소충(彈正少忠) 정7위상 진공직본(秦公直本)은 본거를 좌경 6조로 옮겼다”라고 한다. 그들은 원래 찬기국(讚岐國) 사람으로 이 지역에서는 이전부터 진공씨(秦公氏)가 있었다. 평성궁 출토 목간(『平城宮木簡』 10, 1975)에도 찬기국 사람으로 향천군(香川郡) 원리(原里)에 거주하는 ‘진공□신(秦公□身)’이라는 인물이 나온다.
2. 진시황제(秦始皇帝)
진 시황제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상) 「태진공숙녜조」(740) 참조.
3. 효덕왕(孝德王)
하내국 제번 「광원기촌(廣原忌寸)」 조(1023)에서 “후한 효헌제의 아들 효덕왕으로부터 나왔다(出自後漢孝獻帝男孝德王也.)”라고 하는 효덕왕과 동일인인지, 별인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진공(秦公; 하타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4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