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지하기촌(志賀忌寸; 시가노이미키)

지하기촌(志賀忌寸; 시가노이미키)
 후한(後漢) 효헌제(孝獻帝)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지하기촌(志賀忌寸)
지하(志賀)의 씨명은 근강국(近江國) 지하군(志賀郡)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자하현(滋賀縣) 자하군(滋賀郡) 지역이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6년(787) 7월 무진조에 우경인(右京人) 대우촌주광도(大友村主廣道)를 비롯하여 근강국 야주군인(野洲郡人)의 대우민왈좌룡인(大友民曰佐龍人), 천정군인(淺井郡人) 금왈좌주흥(錦曰佐周興), 포생군인(浦生郡人) 금왈좌명길(錦曰佐名吉), 판전군인(坂田郡人) 혈태촌주진광(穴太村主眞廣) 등이 지하기촌(志賀忌寸)으로 개성하였다. 따라서 지하기촌의 옛 성은 대우촌주(大友村主), 대우민왈(大友民曰), 금왈좌(錦曰佐), 혈태촌주(穴太村主) 등이다. 또 『일본후기』 연력 18년(799) 3월조에는 근강국 천정군(淺井郡) 사람인 종7위하 혈태촌주진장(穴太村主眞杖)이 지하기촌의 씨성을 받았다고 한다.
『속일본후기』승화(承和) 4년(837) 12월 계사조에는 근강국인 지하사상계(志賀史常繼)를 비롯하여 지금부촌주약마려(志錦部村主藥麻呂), 금부주촌인승(錦部主寸人勝), 대우촌주제계(大友村主弟繼) 등이 춘량숙녜(春良宿禰)의 씨성을 받았고, 지하사상계(志賀史常繼)의 선조는 후한 헌제(獻帝)의 후예라고 기록하고 있다.
2. 효헌제(孝獻帝)
효헌제는 헌제와 동일 인물이며, 지하촌주가 된 혈태촌주의 동족이라고 생각되는 인물로는 『신찬성씨록』 미정잡성 우경의 「지하혈태촌주」 조(1090)에 “후한 효헌제의 아들 미파야왕(美波夜王)의 후손이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효헌제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상) 「당종기촌(當宗忌寸)」 조(768)의 후한헌제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지하기촌(志賀忌寸; 시가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3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