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일치창인(日置倉人; 헤키노쿠라히토)

일치창인(日置倉人; 헤키노쿠라히토)
 일치조(日置造; 헤키노미야츠코)와 같은 조상이다. 이리수사주(伊利須使主; 이리수오미)의 형 허려사주(許呂使主)의 후손이다.
 
【주석】
1. 일치창인(日置倉人)
일치(日置)는 대화국(大和國) 갈성군(葛上郡) 일치향(日置鄕)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남갈성군(南葛城郡) 대정촌(大正村) 대우즐라소자(大宇櫛羅小字)일치(日置)에 해당한다. 창인(倉人)은 대화 조정에서 재정을 담당하는 창(倉)과 관련 있는 관직이 가바네화[姓化]한 것으로 보인다(直木孝次郞, 「人制の硏究」, 『日本古代國家の構造』 , 201쪽). 일치창인씨의 일족으로는 일치광정(日置廣庭, 『대일본고문서』 12-7)이 있다. 그는 사경소의 장인(藏人)으로서 자필 서명하고 있다. 창인(倉人)은 장인(藏人), 양인(掠人) 등으로도 표기한다. 창인을 가바네로 한 씨족은 하내국(河內國) 제번의 하내장인(河原藏人), 「미정잡성(未定雜姓)」중의 좌경에 거주하는 지상량인(池上掠人)이라는 인물이 있다.
일족으로는 천평(天平) 5년의 계장 문서(『대일본고문서』 1-490)에 우경 3조 3방에 거주하는 호주 세천량인오십군(細川椋人五十君)이 있다. 『일본서기』 천무(天武) 5년(676)5월조에 대화국 세천산(細川山) 지명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현재의 나량현 고시군(高市郡) 고시촌(高市村) 세천(細川) 일대이다.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5) 5월 9일부 「검중마려전촌가물사청경문(檢仲麻呂田村家物使請經文)」(『대일본고문서』 5-529)에는 종8위상 훈7등 위옥창인도마려(葦屋倉人島麻呂)가 나온다. 하내국(河內國)에는 고시군(古市郡) 백조릉(白鳥陵) 주변을 본거지로 하는 백조량인(白鳥掠人)이 있고, 그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景雲) 3년(769) 6월 무술조에 우경인(右京人) 정8위하 백조량인광(白鳥椋人廣) 등 23인에게 백원련(白原連)의 성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밖에도 지명을 관칭한 창인(倉人) 씨족은 『일본서기』 천무(天武) 10년(681) 4월 경자조에 차전창인심족(次田倉人椹足), 차전창인석승(次田倉人石勝)이 있다. 또 『속일본기』 천평 5년(732) 3월 신해조 하내장인수마려(河內藏人首麻呂), 동 신호경운 3년(769)11월조에 진창인자주(秦倉人呰主)가 보인다. 평성궁 출토 목간(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66, 『平城宮木簡』 1)에도 재량인안만려(財椋人安万呂)라는 인명이 보이는데 진창인(秦倉人)과 같은 부류에 속한다. 이들 창인(倉人) 성 씨족들은 제각기 지명을 씨명으로 하고 있는데, 일치창인이 일치조(日置造)와 동조(同祖)라고 하듯이 지명을 관칭한 씨족들은 창인의 직무에 종사할 경우에 창인의 성을 칭한 것으로 보인다.
2. 일치조(日置造)
좌경 제번(하) 「일치조」 조(801), 대화국 제번 「일치조」 조(953) 참조.
3. 이리수사주(伊利須使主)
이리수사주는 이리수의미(伊利首意彌)와 같다. 좌경 제번(하) 「일치조」 조(801) 참조.
4. 허려사주(許呂使主)
이 인명에 대해서는 기타의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일치창인(日置倉人; 헤키노쿠라히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20_0230